🏠 부동산 속보

"서울 아파트 청약에 7억 필요"…현금 보유자만 유리한 상황

박지후 기자|
"서울 아파트 청약에 7억 필요"…현금 보유자만 유리한 상황
오랜 기다림 끝에 찾아온 청약 기회가 허상으로 밝혀지면서, 건설 업계에서는 대선 영향으로 연기됐던 분양 일정을 다시 조정해야 할지 고민에 빠졌습니다.

6·27 부동산 규제 조치의 여파로 실제 주택 수요자와 개발사 모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규제 적용 직전에 공고를 낸 단지들은 대출 제한을 피할 수 있어 청약자들이 집중적으로 몰렸습니다.

서울 성수동에 건설 예정인 한 아파트 모델하우스의 경우, 48세대 특별공급에 1만 명 이상이 지원하는 이례적인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이 단지는 6·27 규제가 시행되기 하루 전에 분양 공고를 내어 대출 제한에서 자유로울 수 있었습니다.

대출 규제를 적용받지 않은 마지막 분양 단지라는 점과 약 10억 원에 달하는 시세 차익 기대감이 실제 주택 구매자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 청약 신청자: "교통 접근성이 우수하고 인근에 좋은 학교가 많아 관심을 가졌습니다. 대출 규제 문제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지만..."]

서울 잠실의 한 재개발 단지 역시 곧 분양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곳은 약 10억 원의 차익이 예상되지만, 대출 한도 때문에 청약을 위해서는 최소 14억 원의 자금을 확보해야 합니다.

'주택 복권'이라 불리는 무순위 청약도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 서울 강동구의 한 아파트 무순위 청약의 경우 2년 전 분양가 기준으로도 6~7억 원의 현금을 가진 사람만이 참여할 수 있습니다.

/ 강동구 거주자: "무순위 청약은 대출 한도가 6억 원으로 제한되는데 가격이 너무 높습니다. 지금 고민 중입니다." / "자금이 부족하니 계획을 다시 세워야 할 것 같습니다."]

올해 후반기 서울 지역에서만 2만 세대가 넘는 분양이 예정되어 있지만, 이를 기다리던 실제 수요자들에게는 접근하기 어려운 조건이 되었습니다.

강력한 대출 규제로 인해 일반 구매자들의 진입 장벽이 높아지면서 청약 수요 감소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건설사들도 위기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분양 시장이 현금 풍부한 계층만의 전유물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되면서, 개발사들의 분양 시기 결정에 대한 고민도 더욱 깊어질 전망입니다.

한국경제TV 신재근 기자입니다.

영상취재: 양진성, 김재원
영상편집: 최연경
CG: 홍기리

🏠 관련 부동산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