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하락에 도전하라" 무모한 차입 투자…위험 부담 큰 유혹

최예나 기자|
"하락에 도전하라" 무모한 차입 투자…위험 부담 큰 유혹
<앵커>

최근 주요 가상화폐 거래소들이 코인 대출 서비스를 속속 출시하고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투자자들이 빌린 코인을 매도한 후 가격 하락 시 재매입해 상환하는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공매도를 조장하는 행위로 규제 공백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노동규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40대 투자자 손 모 씨는 자신이 보유한 코인을 담보로 빗썸 거래소에서 약 20만 원 상당의 '솔라나' 코인 50개를 대출받았습니다.

[손 모 씨/코인 투자자 : 자본금이 부족하다는 생각에 투자 규모를 확대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고려하게 되었습니다.]

그는 대출받은 코인을 매도해 현금을 확보한 후, 솔라나 가격이 떨어지면 다시 매수해 갚으면서 차익을 얻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손 모 씨/코인 투자자 : 가격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적극적인 투자 기회로 보고 있습니다. 하락장에서도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이죠.]

업비트는 원화 담보로 최대 80%, 빗썸은 원화와 코인을 담보로 최대 4배까지 대출해주고 있습니다. 거래소들은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하락장에서도 수익을 낼 수 있다고 홍보 중입니다.

이는 주식 시장의 공매도와 유사한 투자 행위를 부추기는 것과 다름없습니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코인 가격이 상승할 경우 막대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음에도 투자자 보호 장치가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습니다.

주식 시장에서는 공매도 전 의무 교육 이수와 잔고 공시 등 투자자 보호 장치가 존재하지만, 가상자산 시장은 관련 법규가 전무한 실정입니다.

[채상미/이화여대 경영대학 교수 : 투명성과 신뢰도 확보가 가장 시급한 문제입니다. 규제가 없기 때문에 이게 과연 안전한 투자 기회인지 판단할 수 없는 상황이죠.]

테더와 같은 가격이 안정적인 스테이블코인 대출 서비스는 사실상 무등록 대부업과 유사하다는 논란도 일고 있습니다.

가상자산 거래소 측은 다양한 투자 기법을 활용하기 위해 해외 거래소로 유출되는 자금을 막으려면 국내에서도 이런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이러한 논란에 따라 금융당국은 가상자산 2단계 입법 전까지 담보 금액을 초과하는 코인 대출을 제한하는 등 업계 자율 규제 방안을 요구했습니다.

노동규 기자

🏆 관련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