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금융노조, 주4.5일 근무제 도입 요구…정부 정책과 연계 촉구
박지후 기자|

금융업계 노동조합이 국가정책기획위원회를 상대로 주 4.5일 근무제 시행을 공식 요청했다. 이 제도는 이재명 대통령의 주요 노동 관련 공약 중 하나로,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정상 근무 후 금요일은 오전 반나절만 근무하는 방식이다. 2004년 주5일제를 처음 도입한 금융 부문이 새 정부 출범을 계기로 근로시간 단축 논의를 본격화하고 있다.
30일 금융계 소식에 따르면, 금융노조는 최근 국정기획위 경제1분과 위원들과 만나 주4.5일제 포함 총 17개 현안을 건넸다. 이번 회의는 금융계 노사 양측이 공식적으로 주4.5일제를 논의한 첫 사례다. 간담회에는 ▲권혜원 동덕여대 교수 ▲정흥준 서울과기대 교수 ▲김형선 금융노조 위원장 ▲정종우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 노사정책부 부장 ▲한진선 고용노동부 노동개혁정책관 과장 등이 참석했다.
금융노조는 2002년 7월 시중은행들과의 임금 및 단체협상에서 주5일제를 합의했으며, 2003년 근로기준법 개정을 거쳐 2004년부터 단계적 시행한 바 있다. 김형선 위원장은 "정부 지원 없이 노사 자체적으로 주4.5일제를 결정할 수 있는 업종이 국내에 많지 않다"며 "금융업이 선도적으로 시행하면 사회적 수용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노동시간 감소가 가져올 경제적 효과를 충분히 누리려면 금요일 오후부터 일요일까지의 여가문화 정착이 중요하다"고 덧붙였으며, "근로시간 단축이 저출생·고령화·청년실업 등 사회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선거운동 당시 한국의 연평균 근로시간을 OECD 평균 이하로 낮추겠다는 목표 아래, 주4.5일제 도입을 거쳐 장기적으로 주4일제를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한진선 과장은 "주4.5일제 시행 시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 근무조건 격차가 발생할 수 있다"며 "산업별·기업규모별 형평성 문제와 정부 지원 방안에 대한 지속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30일 금융계 소식에 따르면, 금융노조는 최근 국정기획위 경제1분과 위원들과 만나 주4.5일제 포함 총 17개 현안을 건넸다. 이번 회의는 금융계 노사 양측이 공식적으로 주4.5일제를 논의한 첫 사례다. 간담회에는 ▲권혜원 동덕여대 교수 ▲정흥준 서울과기대 교수 ▲김형선 금융노조 위원장 ▲정종우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 노사정책부 부장 ▲한진선 고용노동부 노동개혁정책관 과장 등이 참석했다.
금융노조는 2002년 7월 시중은행들과의 임금 및 단체협상에서 주5일제를 합의했으며, 2003년 근로기준법 개정을 거쳐 2004년부터 단계적 시행한 바 있다. 김형선 위원장은 "정부 지원 없이 노사 자체적으로 주4.5일제를 결정할 수 있는 업종이 국내에 많지 않다"며 "금융업이 선도적으로 시행하면 사회적 수용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노동시간 감소가 가져올 경제적 효과를 충분히 누리려면 금요일 오후부터 일요일까지의 여가문화 정착이 중요하다"고 덧붙였으며, "근로시간 단축이 저출생·고령화·청년실업 등 사회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선거운동 당시 한국의 연평균 근로시간을 OECD 평균 이하로 낮추겠다는 목표 아래, 주4.5일제 도입을 거쳐 장기적으로 주4일제를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한진선 과장은 "주4.5일제 시행 시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 근무조건 격차가 발생할 수 있다"며 "산업별·기업규모별 형평성 문제와 정부 지원 방안에 대한 지속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