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생명이 300만원인가"…이 대통령, SPC 방문해 회장에게 직격 질타
윤아름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25일 경기도 시흥시 소재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진행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노사 간담회에서 발언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사고 발생 시간이 언제였나요?" "단독 근무 상태였습니까?" "3교대가 아닌 맞교대 제도였군요."
이 대통령은 이날 SPC삼립 시화공장을 직접 찾았다. 이 공장에서는 지난 5월 크림빵 생산라인에서 50대 여성 근로자가 기계에 끼어 상반신을 다친 치명적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간담회에서 이 대통령은 김범수 SPC삼립 대표에게 사고 당시 상황을 세밀하게 질문했다.
사망한 근로자가 12시간 맞교대 근무 끝에 새벽 2시 50분께 사고를 당했다는 사실을 확인한 이 대통령은 "과도한 노동 강도로 인해 야간에는 졸음이 쏟아질 수밖에 없는 환경"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2022년 SPC그룹 계열사 SPL에서도 유사한 시간대에 비슷한 사고가 발생한 점을 언급하며 "동일한 사고가 반복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주 4일 동안 밤 7시부터 아침 7시까지 12시간 연속 근무가 과연 인간적으로 가능한 일인지 심각한 의문이 든다"고 말한 이 대통령은 "심야 장시간 노동이 원인으로 보인다"며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사회 전체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어 "월 300만원의 임금을 받는 근로자라고 해서 그 생명의 가치가 300만원으로 평가될 수는 없다"고 직언했다. 이에 허영인 SPC그룹 회장은 현재의 12시간 맞교대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대통령의 이번 방문은 지난 22일 국무회의에서 "산업재해 사망 현장을 신속히 방문해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지 3일 만에 이루어진 것이다. 그는 지난 7일에도 "작업장 사망 사고를 근절할 특별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한 바 있어, 취임 이후 꾸준히 산업 안전 강화 의지를 피력하고 있다.
간담회 개막 발언에서 이 대통령은 "저 역시 노동자 출신이며 산업재해 피해자였다"며 "수십 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작업장에서 목숨을 잃는 근로자들이 너무 많다"고 토로했다. 이는 청소년 시절 야구 글러브 공장에서 프레스 기계 사고로 팔을 다쳤던 자신의 경험을 언급한 것이다.
"경제적 이유로 안전과 생명을 희생해서는 안 된다"며 그는 강조했다. "사망 사고 없는 사회, 안전한 직장 환경, 행복한 노동 문화를 반드시 조성해야 한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이 대통령은 아버지와 형이 제빵 공장에서 일했던 개인적 경험도 공유했다. 허영인 회장에게 "과거 콘티빵이라는 제품이 있었는데 지금은 어떻게 됐나요? 단종된 건가요?"라고 묻자 허 회장은 긍정적으로 답변했다.
"삼립은 저의 형님이 근무하던 공장이기도 해 특별한 인연이 있다"며 "빵 공장 작업이 얼마나 힘든지 잘 알고 있다"고 덧붙인 이 대통령은 노동 현장의 어려움에 대한 깊은 공감을 표시했다.
윤성민 기자
"사고 발생 시간이 언제였나요?" "단독 근무 상태였습니까?" "3교대가 아닌 맞교대 제도였군요."
이 대통령은 이날 SPC삼립 시화공장을 직접 찾았다. 이 공장에서는 지난 5월 크림빵 생산라인에서 50대 여성 근로자가 기계에 끼어 상반신을 다친 치명적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간담회에서 이 대통령은 김범수 SPC삼립 대표에게 사고 당시 상황을 세밀하게 질문했다.
사망한 근로자가 12시간 맞교대 근무 끝에 새벽 2시 50분께 사고를 당했다는 사실을 확인한 이 대통령은 "과도한 노동 강도로 인해 야간에는 졸음이 쏟아질 수밖에 없는 환경"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2022년 SPC그룹 계열사 SPL에서도 유사한 시간대에 비슷한 사고가 발생한 점을 언급하며 "동일한 사고가 반복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주 4일 동안 밤 7시부터 아침 7시까지 12시간 연속 근무가 과연 인간적으로 가능한 일인지 심각한 의문이 든다"고 말한 이 대통령은 "심야 장시간 노동이 원인으로 보인다"며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사회 전체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어 "월 300만원의 임금을 받는 근로자라고 해서 그 생명의 가치가 300만원으로 평가될 수는 없다"고 직언했다. 이에 허영인 SPC그룹 회장은 현재의 12시간 맞교대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대통령의 이번 방문은 지난 22일 국무회의에서 "산업재해 사망 현장을 신속히 방문해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지 3일 만에 이루어진 것이다. 그는 지난 7일에도 "작업장 사망 사고를 근절할 특별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한 바 있어, 취임 이후 꾸준히 산업 안전 강화 의지를 피력하고 있다.
간담회 개막 발언에서 이 대통령은 "저 역시 노동자 출신이며 산업재해 피해자였다"며 "수십 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작업장에서 목숨을 잃는 근로자들이 너무 많다"고 토로했다. 이는 청소년 시절 야구 글러브 공장에서 프레스 기계 사고로 팔을 다쳤던 자신의 경험을 언급한 것이다.
"경제적 이유로 안전과 생명을 희생해서는 안 된다"며 그는 강조했다. "사망 사고 없는 사회, 안전한 직장 환경, 행복한 노동 문화를 반드시 조성해야 한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이 대통령은 아버지와 형이 제빵 공장에서 일했던 개인적 경험도 공유했다. 허영인 회장에게 "과거 콘티빵이라는 제품이 있었는데 지금은 어떻게 됐나요? 단종된 건가요?"라고 묻자 허 회장은 긍정적으로 답변했다.
"삼립은 저의 형님이 근무하던 공장이기도 해 특별한 인연이 있다"며 "빵 공장 작업이 얼마나 힘든지 잘 알고 있다"고 덧붙인 이 대통령은 노동 현장의 어려움에 대한 깊은 공감을 표시했다.
윤성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