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위성락 실장, 루비오 미 보좌관과 유선 협의…"미국 측 거절설은 사실 아님"
한지민 기자|

대통령실은 24일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미국 방문 중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을 비롯한 주요 인사들과 협상을 진행했다고 발표했다. 일부 언론의 '미국 측 거절로 면담 무산' 주장을 공식 부인한 것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위 실장은 한미 간 안보·경제 현안을 종합적으로 논의하고, 향후 경제 협상을 지원하기 위해 이번 방미 일정을 가졌다"고 설명했다. 특히 미국의 관세 부과 시한이 임박한 상황에서의 협의임을 강조했다.
위 실장은 루비오 보좌관 외에도 베이커 국가안보부보좌관, 하워드 러트닝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 후커 국무부 정무차관 등과 회동을 가졌다. 이 자리에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도 참석했다.
대통령실은 "비공개 회담 내용은 공개할 수 없지만, 일부 보도는 양국 간 신뢰를 훼손할 수 있는 오보"라며 정황을 상세히 설명했다. 위 실장은 21일 오후 루비오 보좌관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백악관 웨스트윙을 방문했으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긴급 소집으로 면담이 지연됐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위 실장은 동석한 베이커 보좌관 등과 한미 현안을 깊이 논의했으며, 루비오 보좌관과는 이후 전화 회담으로 협의를 대체하기로 합의했다. 22일에는 필리핀 정상 회의 등으로 직접 만남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양측이 유선으로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은 "루비오 보좌관이 트럼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호출로 인해 참석하지 못한 점을 세 차례 사과하며 적극적인 협조 의사를 표명했다"고 덧붙였다. 또한 양측은 향후에도 지속적인 소통을 유지하기로 했다는 입장을 전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위 실장은 한미 간 안보·경제 현안을 종합적으로 논의하고, 향후 경제 협상을 지원하기 위해 이번 방미 일정을 가졌다"고 설명했다. 특히 미국의 관세 부과 시한이 임박한 상황에서의 협의임을 강조했다.
위 실장은 루비오 보좌관 외에도 베이커 국가안보부보좌관, 하워드 러트닝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 후커 국무부 정무차관 등과 회동을 가졌다. 이 자리에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도 참석했다.
대통령실은 "비공개 회담 내용은 공개할 수 없지만, 일부 보도는 양국 간 신뢰를 훼손할 수 있는 오보"라며 정황을 상세히 설명했다. 위 실장은 21일 오후 루비오 보좌관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백악관 웨스트윙을 방문했으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긴급 소집으로 면담이 지연됐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위 실장은 동석한 베이커 보좌관 등과 한미 현안을 깊이 논의했으며, 루비오 보좌관과는 이후 전화 회담으로 협의를 대체하기로 합의했다. 22일에는 필리핀 정상 회의 등으로 직접 만남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양측이 유선으로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은 "루비오 보좌관이 트럼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호출로 인해 참석하지 못한 점을 세 차례 사과하며 적극적인 협조 의사를 표명했다"고 덧붙였다. 또한 양측은 향후에도 지속적인 소통을 유지하기로 했다는 입장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