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한국은행, 금값 상승에도 추가 매수 안 하는 이유는?[시장분석 리포트]

박지후 기자|
한국은행, 금값 상승에도 추가 매수 안 하는 이유는?[시장분석 리포트]
"주식·채권 대비 거래 유연성 떨어져" 10년째 '104.4톤' 수준 유지

국제 금값이 올해 16.6% 급등하면서 한국은행이 보유한 금의 시장 가치도 130% 이상 크게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중앙은행의 금 매수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로 인해, 우리나라의 세계 금 보유량 순위는 작년 말 기준 38위로 계속해서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1일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의원실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현재 104.4톤의 금을 보유 중입니다. 이를 원·달러 환율 1375원, 금온스당 3314달러로 계산하면 약 111억3000만 달러의 가치에 해당합니다. 다만 한국은행은 매입 당시 가격인 장부가 기준(47억9000만 달러)으로 평가하고 있어, 약 132.4%의 평가 수익을 기록 중입니다.

한국은행은 2011년 40톤, 2012년 30톤, 2013년 20톤을 추가 구매한 이후 총 보유량을 104.4톤으로 유지해 오고 있습니다. 세계금위원회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중앙은행 금 보유량 순위는 2013년 32위에서 2022년 말 38위로 6계단 하락했습니다. 이 추세는 2018년 33위, 2021년 34위, 2022년 36위로 지속적인 순위 하락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국은행 측은 금 자산이 미국 국채 등에 비해 시장 유동성이 낮을 뿐 아니라 가격 변동성도 커서, 위험 대비 수익률 측면에서 다른 자산군에 비해 우월하다고 보기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특히 최근 원·달러 환율이 고공 행진을 이어가면서 유동성이 높은 자산으로 외환보유액을 운용할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으로도 금 매입 여부는 안전성·유동성·수익성이라는 외환보유액 운용 원칙과 함께 국제금융시장 동향, 금 투자 환경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할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수익성도 중요하지만 자산의 유동성이 더욱 중요하기 때문에 매매가 용이한 주식이나 채권에 주로 투자하고 있어 금 보유량을 늘리기는 쉽지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역시 이러한 보수적인 입장에 동의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 이 총재는 "금 투자로 수익을 올릴 수는 있지만 그만큼 위험도 크다"며 "OECD 선진국들이 대량의 금을 보유하는 것은 과거 금본위제도 하에서의 통화 정책 유지가 주된 이유였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이호 기자 ▲ 문재인 정부 장관 "강선우, 나에게도 갑질했는데 장관 됐다는 게 믿기지 않아" ▲ 특검, 김건희 여사에 8월 6일 출석 요청서 발송 ▲ 10대 제자 성폭행 혐의 김상환 판사, 합의금 지급 이유로 집행유예 선고 ▲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청문보고서 여당 단독 처리 ▲ 채상병 특검, 이종섭 전 의장 의견서 제출...윤 대통령과 통화 사실 명시

Copyright 동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 학습 이용을 금지합니다.

🏆 관련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