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단독] 이 대통령, '미국 911 시스템' 참고해 신고번호 통합 검토 지시
한지민 기자|
![[단독] 이 대통령, '미국 911 시스템' 참고해 신고번호 통합 검토 지시](/_next/image?url=%2Fsupabase-images%2Fnews%2Fnate%2Fnate_20250721n24687_1753087404286.webp&w=3840&q=75)
이재명 대통령이 다양한 긴급신고 및 민원 접수 번호를 단일화하는 방안을 추진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21일 취재 결과에 따르면, 대통령은 최근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전화 내용을 분석하고 해당 부처로 자동 연결하는 'AI 기반 민원 통합 시스템' 구축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이 시스템은 분산되어 있는 신고 번호를 통합하고, 접수된 사항을 적절한 부처로 자동 배분하는 기능을 갖출 예정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국민들이 각 기관별 업무 분장을 일일이 파악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한 조치"라며 "현재 여러 수석실이 협의하며 기본 계획을 수립 중"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우리나라는 긴급신고는 112와 119, 비긴급 민원은 110으로 각각 접수하고 있으나, 기관별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인해 정보 공유가 원활하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미국의 911처럼 경찰, 소방, 구급 서비스를 한 번호로 통합하는 '통합상황실' 도입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통령실은 "구체적인 실행 방안은 아직 논의 단계"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경기도지사 재임 시절에도 부서 간 민원 전가 현상(민원 핑퐁)을 방지하기 위해 민원조정관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이 제도는 민원조정관이 민원 접수부터 처리, 사후 관리까지 일괄 담당하는 원스톱 시스템이다.
또한 대통령실은 최근 집중 호우 피해와 관련해 피해 신고에서 보상 문의까지 한 번에 상담할 수 있는 '고충경청창구' 운영을 검토 중이다. 이안건은 20일 강훈식 비서실장 주재로 열린 수석·보좌관급 수해 대책 회의에서 논의됐다. 관계자는 "12m 이상 도로 복구는 광역지자체, 그 미만은 기초지자체가 담당하는 등 관할 구분이 복잡해 국민들이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다"며 "재난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통합 창구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번 폭우 피해 지역에서는 정전, 도로 유실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했으나, 접수 창구가 분산되어 있어 피해 신고가 제때 처리되지 못하는 사례가 잇따랐다.
고경주 기자 <한겨레 인기기사>■{
setYoutube();
function setYoutube() { if{ frmTarget.find.each(function { $.css({'height': parseInt($.width() / 1.8)}); window.parent.postMessage({ method: 'fnct', name: 'callFnct', property: {target: 'youtube_resize_iframe', elementClass: '.frameMV', height: parseInt($.width() / 1.8), idx: idx} }, '*'); }); } }
});
대통령실 관계자는 "국민들이 각 기관별 업무 분장을 일일이 파악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한 조치"라며 "현재 여러 수석실이 협의하며 기본 계획을 수립 중"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우리나라는 긴급신고는 112와 119, 비긴급 민원은 110으로 각각 접수하고 있으나, 기관별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인해 정보 공유가 원활하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미국의 911처럼 경찰, 소방, 구급 서비스를 한 번호로 통합하는 '통합상황실' 도입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통령실은 "구체적인 실행 방안은 아직 논의 단계"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경기도지사 재임 시절에도 부서 간 민원 전가 현상(민원 핑퐁)을 방지하기 위해 민원조정관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이 제도는 민원조정관이 민원 접수부터 처리, 사후 관리까지 일괄 담당하는 원스톱 시스템이다.
또한 대통령실은 최근 집중 호우 피해와 관련해 피해 신고에서 보상 문의까지 한 번에 상담할 수 있는 '고충경청창구' 운영을 검토 중이다. 이안건은 20일 강훈식 비서실장 주재로 열린 수석·보좌관급 수해 대책 회의에서 논의됐다. 관계자는 "12m 이상 도로 복구는 광역지자체, 그 미만은 기초지자체가 담당하는 등 관할 구분이 복잡해 국민들이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다"며 "재난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통합 창구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번 폭우 피해 지역에서는 정전, 도로 유실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했으나, 접수 창구가 분산되어 있어 피해 신고가 제때 처리되지 못하는 사례가 잇따랐다.
고경주 기자 <한겨레 인기기사>■{
setYoutube();
function setYoutube() { if{ frmTarget.find.each(function { $.css({'height': parseInt($.width() / 1.8)}); window.parent.postMessage({ method: 'fnct', name: 'callFnct', property: {target: 'youtube_resize_iframe', elementClass: '.frameMV', height: parseInt($.width() / 1.8), idx: idx}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