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속보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신청 시작…주요 경제 소식 모아보기
임현우 기자|

📊 7월 21일 주요 시장 지표
- 코스피: 3,210.81(+0.71%)
- 코스닥: 821.69(+0.12%)
- 원·달러 환율: 1,388.20원(-0.28%, 오후 3시 30분 기준)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개시
오늘(21일)부터 9월 12일까지 약 8주간 1차 소비쿠폰 신청이 진행됩니다. 초기 혼잡을 줄이기 위해 첫 주(21~25일)에는 출생 연도 끝자리별로 요일제 접수를 시행 중입니다. 월요일(1·6), 화요일(2·7), 수요일(3·8), 목요일(4·9), 금요일(5·0)에 해당하며, 주말은 온라인 접수만 가능합니다. 신청 첫날부터 접속자가 급증해 일부 카드사 앱에 장애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 외국인·기관 매수로 코스피 상승
국내 주식시장에서 코스피는 1% 가까이 오르며 3,200선을 회복했습니다. 외국인(8,960억 원)과 기관(994억 원)의 적극적인 매수가 개인들의 1조 원 이상 매도 물량을 상쇄하며 지수를 끌어올렸습니다. 코스닥 역시 820선을 유지하며 소폭 상승했습니다.
◆ 대출 규제 여파로 부동산 시장 위축
6월 27일 대출 규제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이 냉각되고 있습니다. 중위 거래가격이 6억 6,000만 원에서 5억 원으로, 거래 면적도 84㎡에서 78㎡로 축소되었습니다. 거래량은 2만 474건에서 5,529건으로 급감했으며, 강남 지역도 예외 없이 침체되었습니다.
◆ 폭우 피해로 물가 불안 확산
최근 기록적인 폭우로 24,247㏊의 농경지가 침수되고 103만 마리의 가축이 폐사하는 등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이에 수박·깻잎·달걀·닭고기 등 생필품 가격이 급등하며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수급 안정화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 수출 흑자에도 불구한 우려
7월 1~20일 수출은 5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으나, 전년 대비 2.2% 감소했습니다. 반도체·승용차는 호조를 보였으나 석유제품·자동차 부품이 부진했고, 8월 1일부터 미국의 고관세 적용이 예상되며 추가 감소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 이번 주 주요 경제 일정
1. 소비쿠폰 1차 신청: 기본 15만 원~최대 40만 원 지급, 11월 말까지 사용
2. 단통법 폐지: 통신사별 보조금 경쟁 심화 예상
3. 7월 소비자심리지수 발표: 6월 4년 만에 최고치 기록 이후 동향 주목
4. 2분기 성장률 속보(24일 발표): 1분기 마이너스(-0.2%) 이후 반등 여부
5. 대한조선 공모주 청약(22~23일):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1,199:1 기록
#민생회복소비쿠폰 #물가안정 #공모주청약 #소비자심리지수
- 코스피: 3,210.81(+0.71%)
- 코스닥: 821.69(+0.12%)
- 원·달러 환율: 1,388.20원(-0.28%, 오후 3시 30분 기준)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개시
오늘(21일)부터 9월 12일까지 약 8주간 1차 소비쿠폰 신청이 진행됩니다. 초기 혼잡을 줄이기 위해 첫 주(21~25일)에는 출생 연도 끝자리별로 요일제 접수를 시행 중입니다. 월요일(1·6), 화요일(2·7), 수요일(3·8), 목요일(4·9), 금요일(5·0)에 해당하며, 주말은 온라인 접수만 가능합니다. 신청 첫날부터 접속자가 급증해 일부 카드사 앱에 장애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 외국인·기관 매수로 코스피 상승
국내 주식시장에서 코스피는 1% 가까이 오르며 3,200선을 회복했습니다. 외국인(8,960억 원)과 기관(994억 원)의 적극적인 매수가 개인들의 1조 원 이상 매도 물량을 상쇄하며 지수를 끌어올렸습니다. 코스닥 역시 820선을 유지하며 소폭 상승했습니다.
◆ 대출 규제 여파로 부동산 시장 위축
6월 27일 대출 규제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이 냉각되고 있습니다. 중위 거래가격이 6억 6,000만 원에서 5억 원으로, 거래 면적도 84㎡에서 78㎡로 축소되었습니다. 거래량은 2만 474건에서 5,529건으로 급감했으며, 강남 지역도 예외 없이 침체되었습니다.
◆ 폭우 피해로 물가 불안 확산
최근 기록적인 폭우로 24,247㏊의 농경지가 침수되고 103만 마리의 가축이 폐사하는 등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이에 수박·깻잎·달걀·닭고기 등 생필품 가격이 급등하며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수급 안정화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 수출 흑자에도 불구한 우려
7월 1~20일 수출은 5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으나, 전년 대비 2.2% 감소했습니다. 반도체·승용차는 호조를 보였으나 석유제품·자동차 부품이 부진했고, 8월 1일부터 미국의 고관세 적용이 예상되며 추가 감소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 이번 주 주요 경제 일정
1. 소비쿠폰 1차 신청: 기본 15만 원~최대 40만 원 지급, 11월 말까지 사용
2. 단통법 폐지: 통신사별 보조금 경쟁 심화 예상
3. 7월 소비자심리지수 발표: 6월 4년 만에 최고치 기록 이후 동향 주목
4. 2분기 성장률 속보(24일 발표): 1분기 마이너스(-0.2%) 이후 반등 여부
5. 대한조선 공모주 청약(22~23일):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1,199:1 기록
#민생회복소비쿠폰 #물가안정 #공모주청약 #소비자심리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