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10분 휴식으로 집중력 향상"…주4일 근무제 실제 적용 사례 공개
임현우 기자|

<앵커>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주 4.5일 근무제 도입 계획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근로 시간 축소 방침에 반대 의견은 적을 것으로 보이지만, 해결해야 할 현실적 문제점들도 존재합니다.
정준호 기자가 실제 도입 사례를 취재했습니다.
정수기 필터 제조업체 뉴라이즌의 사무직 근로자들은 창립 초기인 2020년부터 주당 30시간, 주4일 근무제를 시행 중입니다.
휴일은 수요일과 금요일 중 하루를 자율적으로 선택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근무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로 설정하고, 이 기간 동안 업무 집중도를 유지하기 위해 하루 두 차례, 각 10분간의 공동 휴식 시간을 의무화했습니다.
[홍준우/뉴라이즌 직원 : 사적인 대화는 휴식 시간에 하기로 약속이 자리잡혀 있어 업무 분위기가 좋습니다.]
동종 업계 평균과 비교해 임금 수준이 낮지 않아 직원 만족도가 높으며, 회사 매출 역시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고 전해졌습니다.
[최혜리/뉴라이즌 경영운영실장 : 근무 시간 동안 직원들의 집중력이 높아 업무 효율성이나 생산성 저하 현상은 전혀 발견되지 않습니다.]
국립중앙의료원에서도 지난달부터 5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주당 32시간 근무의 주4일제 시범 운영을 시작했습니다.
[이유진/국립중앙의료원 간호사 : 예전에는 체력 소진으로 업무 효율이 70~80% 수준에 머물렀고, 퇴근 후 후회감이 들었는데 지금은 상황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다만, 주간 사무직과 달리 교대 근무제를 운영하는 의료 현장의 특성상, 병상 이용률 증가 시 추가 인력 채용이 필수적입니다.
세브란스병원의 경우 주4일제 시범 운영 결과, 기존 5명당 1.5명의 추가 인력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김성희/고려대 노동문제연구소 교수 : 근로 시간 관리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구축해 형평성 문제를 예방하고, 충분한 인력이 확보될 때 진정한 의미의 주4.5일제 실현이 가능합니다.]
국내외 사례 분석 결과, 생산성 제고를 위한 업무 프로세스 개편과 직무 특성 고려 없이 복지 차원에서만 접근한 주4일제는 성공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준호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주 4.5일 근무제 도입 계획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근로 시간 축소 방침에 반대 의견은 적을 것으로 보이지만, 해결해야 할 현실적 문제점들도 존재합니다.
정준호 기자가 실제 도입 사례를 취재했습니다.
정수기 필터 제조업체 뉴라이즌의 사무직 근로자들은 창립 초기인 2020년부터 주당 30시간, 주4일 근무제를 시행 중입니다.
휴일은 수요일과 금요일 중 하루를 자율적으로 선택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근무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로 설정하고, 이 기간 동안 업무 집중도를 유지하기 위해 하루 두 차례, 각 10분간의 공동 휴식 시간을 의무화했습니다.
[홍준우/뉴라이즌 직원 : 사적인 대화는 휴식 시간에 하기로 약속이 자리잡혀 있어 업무 분위기가 좋습니다.]
동종 업계 평균과 비교해 임금 수준이 낮지 않아 직원 만족도가 높으며, 회사 매출 역시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고 전해졌습니다.
[최혜리/뉴라이즌 경영운영실장 : 근무 시간 동안 직원들의 집중력이 높아 업무 효율성이나 생산성 저하 현상은 전혀 발견되지 않습니다.]
국립중앙의료원에서도 지난달부터 5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주당 32시간 근무의 주4일제 시범 운영을 시작했습니다.
[이유진/국립중앙의료원 간호사 : 예전에는 체력 소진으로 업무 효율이 70~80% 수준에 머물렀고, 퇴근 후 후회감이 들었는데 지금은 상황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다만, 주간 사무직과 달리 교대 근무제를 운영하는 의료 현장의 특성상, 병상 이용률 증가 시 추가 인력 채용이 필수적입니다.
세브란스병원의 경우 주4일제 시범 운영 결과, 기존 5명당 1.5명의 추가 인력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김성희/고려대 노동문제연구소 교수 : 근로 시간 관리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구축해 형평성 문제를 예방하고, 충분한 인력이 확보될 때 진정한 의미의 주4.5일제 실현이 가능합니다.]
국내외 사례 분석 결과, 생산성 제고를 위한 업무 프로세스 개편과 직무 특성 고려 없이 복지 차원에서만 접근한 주4일제는 성공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