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경제 리포트] 국민 10명 중 7명 "팁 문화 반대"…현행 법률상 강제 요구는 위법

박지후 기자|
[경제 리포트] 국민 10명 중 7명 "팁 문화 반대"…현행 법률상 강제 요구는 위법
<앵커>

화요일 경제 리포트 시간입니다. 오늘도 경제부 한지연 기자와 함께합니다. 한 기자, 오늘 다룰 주제는 다소 생소한 내용인데요. 최근 국내 음식점에서 팁을 요구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고요?

최근 SNS에 공유된 한 장의 사진이 논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빨간색 팁 박스가 놓인 계산대 사진으로, 박스에는 "맛있게 식사하셨나요? 최상의 서비스와 요리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라는 문구가 적혀 있었습니다.

여의도 한 음식점을 방문한 고객이 이 사진을 올리며 "한국은 팁 문화가 없는 나라다. 이런 관습을 도입하지 말라"고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이에 다른 네티즌들도 "한국에 팁 문화가 생긴 건 언제부터인가", "점차 강제화될 우려가 있다"는 등의 부정적인 의견을 쏟아냈습니다.

국내에서 팁을 요구하는 사례는 최근 몇 년 사이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한 냉면 전문점이 직원 회식비 명목으로 300원을 추가 결제하는 선택 항목을 키오스크에 도입해 논란이 된 바 있으며, 2023년에는 유명 베이커리가 팁 박스를 설치했다가 여론의 질타를 받고 철회한 적이 있습니다.

세종시의 한 장어 전문점도 "친절한 서비스 제공 시 테이블당 5,000원 정도의 팁을 부탁한다"는 안내문을 게시해 논란을 일으켰고, 일부 피자 가게는 2,000원의 팁을 함께 결제해야 주문이 가능하도록 해 비판을 받았습니다.

<앵커>

일부 소비자들은 팁을 원하지 않으면 해당 음식점을 이용하지 않으면 된다는 의견도 있지만, 실제로 현행 '식품위생법'에 따르면 음식점은 메뉴에 표기된 가격이 모든 비용을 포함한 최종 금액이어야 합니다. 별도의 봉사료를 강제로 요구하거나 선택을 강요하는 행위는 명백한 위법 행위에 해당합니다.

다만 앞서 언급된 대부분의 사례는 선택 사항으로 제공되었기 때문에 법적 문제는 없었습니다. 단, 팁 결제가 주문의 필수 조건이었던 경우만 위법성이 인정될 수 있습니다.

국내 팁 문화 도입에 대한 여론 조사 결과, 응답자의 73%가 강력히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반면 우수한 서비스 제공 시 적극 수용하겠다는 응답은 5%에 그쳤습니다. 흥미롭게도 팁 문화가 정착된 미국에서도 최근 물가 상승과 키오스크 보급 확대로 적정 팁 액수를 둘러싼 논란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현지 조사에서도 응답자 10명 중 7명이 팁 의무화에 반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앵커>

이번에는 다른 소식을 전해드리겠습니다. 여름 휴가 시즌을 맞아 항공사별 운항 지연 현황에 대한 조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올 상반기 국내 10개 항공사 평균 지연율은 23.6%로 집계되었습니다. 이 중 에어서울이 36.5%의 가장 높은 지연율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습니다. 항공 운항은 예정 시간보다 15분 이상 지연될 경우 공식적으로 지연으로 분류됩니다.

상반기 총 33만 편의 운항 중 약 7만 8천 편이 지연되었으며, 국내선은 19.6%(3만 3천 편), 국제선은 27.8%(4만 4천 편)의 지연율을 보였습니다. 에어서울은 국내선 28%, 국제선 41%의 지연율로 모든 부문에서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으며, 이는 해당 항공사 비행기 3대 중 1대가 정시에 운항되지 못한 것과 같습니다.

지난해 국토교통부 항공교통 서비스 평가에서 에어서울은 운항 신뢰성 부문에서 국적 항공사 중 최저 점수를 받은 바 있습니다. 국내선 지연율 순위에서는 에어서울에 이어 진에어, 이스타항공이 뒤를 이었고, 국제선에서는 진에어와 에어프레미아, 아시아나항공이 높은 지연율을 보였습니다.

🏆 관련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