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단독] 박정훈 대령, 군사경찰 복귀 가능성 높아…'채상병 특검' 논의 속 재입직 검토

한지민 기자|
[단독] 박정훈 대령, 군사경찰 복귀 가능성 높아…'채상병 특검' 논의 속 재입직 검토
국정기획위원회가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의 군복무 명예 회복을 위해 국방부에 군사경찰 보직 복귀를 공식 요청할 예정이다. 이는 박 대령이 제기한 보직해임 무효 소송의 판결과 상관없이 선제적으로 조치를 취하겠다는 방침으로 알려졌다. 박 대령 측은 원래 직책인 해병대 수사단장으로의 복귀를 희망하고 있으나, 이미 후임자가 임명된 상태라 국방부는 다양한 복귀 방안을 검토 중이다.

7일 취재 결과에 따르면, 국정기획위는 박 대령이 본래의 군사경찰 임무를 재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위원회 관계자는 "박 대령이 정당한 직무 수행을 통해 명예를 회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고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도 대선 캠프 당시 "해병대의 훼손된 명예를 회복해야 한다"며 "박 대령이 제자리로 돌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박 대령이 군사경찰 업무에 복귀할 경우, 2023년 8월 수사단장직에서 물러난 지 약 2년 만에 현장 복귀가 가능해진다. 그는 故 채수근 상병 사망 사건 수사 과정에서 당시 김계환 해병대사령관의 조사 기록 보류 지시를 거부한 혐의로 직위를 박탈당했다. 현재 박 대령은 보직해임 무효 확인 소송을 진행 중이며, 16일 1심 판결이 예정되어 있다. 또한 항명 및 상관 명예훼손 혐의와 관련해 1심 무죄 판결 후 검찰의 항소로 2심이 진행 중이다.

지난 3월 박 대령은 해병대 인사근무차장으로 임명되었으나, 이는 정식 편제에 없는 임시 직위다. 그는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수사단장 직책으로의 복귀만이 진정한 명예 회복의 길"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현역 군인으로서 국방부의 결정에 따를 것"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국방부 당국자는 "국정기획위의 의견은 존중하지만, 수사단장으로의 복귀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어 "정기 인사가 아닌 단독 인사 조치는 시스템상 제약이 따른다"고 설명하며, 대신 군사경찰 보직 중 하나인 국방부 조사본부 부임 가능성을 시사했다.

한편 박 대령은 해병대 수사단장 시절 故 채상병 사건을 수사하던 중 상부 지시를 거부한 혐의로 직위를 잃었으며, 이 사건을 둘러싼 논란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 관련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