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한미 무역 협상 최종 합의…"상호관세 25%→15% 인하, 2주 내 정상회의 개최"(종합)
고성민 기자|

"한국, 美에 3천500억달러 투자 및 1천억달러 규모 에너지 구매 약속""자동차·농산물 등 미국 제품 수용 합의"…품목별 관세 구체적 언급 없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0일 한국이 3천500억달러를 미국에 투자하기로 하는 등 여러 조건 하에 양국 간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한국 무역협상 대표단과 회담을 가진 뒤 자신의 SNS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미국과 한국이 포괄적인 무역 합의를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협의 내용을 설명하며 "한국은 미국이 관리하고 내가 직접 지정하는 프로젝트에 3천500억달러를 투자할 것"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한국은 추가로 천연가스를 포함한 1천억달러 상당의 에너지 제품을 구매하며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번 협정 내용은 2주 이내에 백악관을 방문할 이재명 한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공식 발표될 예정"이라며 "새 대통령의 당선을 축하한다"는 소회도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은 미국산 자동차, 트럭, 농산물 등 다양한 제품에 시장을 개방하기로 합의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한국에 부과되는 관세를 15%로 조정하기로 했으며 미국 측에는 별도 관세가 적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회담에는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등 한국 정부 대표단이 참석했다. 대표단은 오후 4시 30분경 백악관에 도착해 트럼프 대통령과 회동을 가진 후 6시께 현장을 떠났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6시 16분께 SNS를 통해 협상 타결 소식을 알렸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8월 1일부터 한국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할 것이라 경고한 바 있으며, 한국 정부는 이에 대응해 관세 인하를 위한 협상을 지속해 왔다. 다만 이번 발표에서는 자동차·철강 등 주요 수출품목에 대한 구체적인 관세 조정 내용은 언급되지 않았다. 한국에 적용되는 15%의 상호관세는 미국이 일본과 EU와 합의한 수준과 동일하다.
한편 일본의 경우 5천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약속한 바 있으며, 트럼프 행정부는 투자 수익의 90%가 미국으로 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의 투자 수익 배분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다. 미국은 일본의 투자금을 에너지, 반도체, 핵심 광물 등 전략적 산업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어, 한국의 투자 역시 유사한 분야로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0일 한국이 3천500억달러를 미국에 투자하기로 하는 등 여러 조건 하에 양국 간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한국 무역협상 대표단과 회담을 가진 뒤 자신의 SNS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미국과 한국이 포괄적인 무역 합의를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협의 내용을 설명하며 "한국은 미국이 관리하고 내가 직접 지정하는 프로젝트에 3천500억달러를 투자할 것"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한국은 추가로 천연가스를 포함한 1천억달러 상당의 에너지 제품을 구매하며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번 협정 내용은 2주 이내에 백악관을 방문할 이재명 한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공식 발표될 예정"이라며 "새 대통령의 당선을 축하한다"는 소회도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은 미국산 자동차, 트럭, 농산물 등 다양한 제품에 시장을 개방하기로 합의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한국에 부과되는 관세를 15%로 조정하기로 했으며 미국 측에는 별도 관세가 적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회담에는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등 한국 정부 대표단이 참석했다. 대표단은 오후 4시 30분경 백악관에 도착해 트럼프 대통령과 회동을 가진 후 6시께 현장을 떠났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6시 16분께 SNS를 통해 협상 타결 소식을 알렸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8월 1일부터 한국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할 것이라 경고한 바 있으며, 한국 정부는 이에 대응해 관세 인하를 위한 협상을 지속해 왔다. 다만 이번 발표에서는 자동차·철강 등 주요 수출품목에 대한 구체적인 관세 조정 내용은 언급되지 않았다. 한국에 적용되는 15%의 상호관세는 미국이 일본과 EU와 합의한 수준과 동일하다.
한편 일본의 경우 5천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약속한 바 있으며, 트럼프 행정부는 투자 수익의 90%가 미국으로 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의 투자 수익 배분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다. 미국은 일본의 투자금을 에너지, 반도체, 핵심 광물 등 전략적 산업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어, 한국의 투자 역시 유사한 분야로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