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적은 월급으로는 생활이 어렵다"…청년들, 공무원 직장 기피 현상 확산

정우진 기자|
"적은 월급으로는 생활이 어렵다"…청년들, 공무원 직장 기피 현상 확산
쿠키뉴스 제공 사진최근 공무원 시험 준비자 수가 관련 통계 집계 시작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공공기관 채용 인원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청년 세대 사이에서 '안정적인 직장'으로 여겨지던 공무원 직군에 대한 선호도가 현저히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규 채용 공무원들의 이직률도 함께 증가하면서, 전문가들은 낮은 급여 수준과 부족한 복지 혜택이 주된 이유라고 분석했다.

통계청이 5월 24일 공개한 '2025년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추가조사' 결과에 의하면, 이번 해 일반직 공무원 시험에 지원한 인원은 10만7000명으로 조사됐다. 이는 2006년 통계 작성 시작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전체 구직 시험 응시자 중 공무원 지망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18.2%에 그쳤다. 반면 일반 기업 취업 준비생은 21만1000명으로 집계되어 공시생보다 약 2배 가량 많았다. 일반 기업 지원자 수가 공무원 지망생을 추월한 것은 2006년, 2024년에 이어 세 번째지만, 이처럼 큰 격차를 보인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이는 채용 시장이 악화된 상황에서도 공공부문 진출을 꺼리는 청년들이 늘고 있음을 시사한다.

고용노동부가 6월 26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업종별 기업체 인력 수요 조사'에 따르면, 국내 사업체의 2~3분기 채용 계획은 47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9.7% 감소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지방자치단체의 신규 채용 규모는 1만7665명으로 지난해보다 8.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 시험 합격자들조차 장기 근속하는 사례가 줄어들고 있다. 인사혁신처 자료에 의하면, 임용 후 5년 이내에 직장을 그만두는 공무원 수가 2019년 6663명에서 2022년 1만3321명으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2030청년위원회가 지난 18일 20~30대 청년 공무원 2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에서, 응답자의 72%가 '월급 문제로 퇴사를 고려한 적이 있다'고 답변했다. 또한 '소득 문제로 결혼 계획을 포기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도 95명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신규 공무원 유입 감소와 이직 증가 현상이 지속될 경우 공공부문 인력의 전문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전북대 사회학과 설동훈 교수는 "과거 공무원 직군은 연금 혜택과 고용 안정성으로 인해 선호도가 높았지만, 최근 연금 감소와 처우 개선 정체로 매력도가 하락했다"며, "현재 공시생 수가 채용 인원보다 많지만, 앞으로는 지속적으로 감소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전 대전대 행정학과 이창기 교수는 "공직 기피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급여 인상과 복지 확충이 필수적"이라면서도, "인재들이 민간 분야로 분산되는 현상은 경제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부분도 있다"고 덧붙였다. 노유지 기자

🏆 관련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