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미국, 조선업 부활 위해 한국에 3가지 핵심 조건 제시…투자·기술·인력 협력 요구

신채영 기자|
미국, 조선업 부활 위해 한국에 3가지 핵심 조건 제시…투자·기술·인력 협력 요구
미국 정부가 한국 조선업계와의 협력을 통해 자국 조선 산업을 재건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내며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한미 산업통상 장관 회담에서 미국 측은 한국 기업들의 현지 투자, 핵심 기술 공유, 전문 인력 양성 지원 등을 주요 협력 조건으로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행정부는 중국의 급성장하는 조선 산업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하며 대응책을 모색 중이다. 특히 한국의 선박 건조 기술력과 효율적인 생산 시스템을 도입해 생산성 격차를 해소하려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주 한미 관세 협상에서 조선 분야 협력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미국은 한국 기업들이 현지에 생산 시설을 설립하고, 선박 제조 기술을 이전하며, 현지 근로자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할 것을 요구했다. 한국의 빠른 건조 기술과 공정 최적화 시스템이 특히 주목받고 있는 상황이다.

26일 진행된 긴급 회의에서 대통령실은 "미국의 강한 관심을 확인했으며, 상호 이익이 되는 협력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미 상무부 장관과의 논의 내용을 보고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중국의 해군력 확장에 대한 미국의 위기감에서 비롯됐다. 현재 중국은 상선 보유량 7,000척 이상으로 미국(200척 미만)을 압도하고 있으며, 연간 건조량도 1,700척으로 미국(5척 미만)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국 기업들은 이미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추진 중이다. 한화오션은 최근 인수한 미국 조선소를 통해 LNG 운반선 건조에 나섰으며, HD현대는 현지 기업과 협력해 혁신적인 선박 제조 기술을 공유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일본 기업들은 인프라 부족을 이유로 미국 진출에 소극적인 반면, 한국은 첨단 조선 기술과 인력 양성 역량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협력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정부 관계자는 "미국 조선 산업의 부활에는 최소 10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며 "단기적 지원과 장기적 발전 전략을 포함한 종합적 협력 방안이 논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기업의 자발적 투자 유도와 기술 보호 간 균형을 찾는 것이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 관련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