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마포구 12억 아파트 8억에 급매…강력한 대출 규제로 부동산 시설 요동

최예나 기자|
마포구 12억 아파트 8억에 급매…강력한 대출 규제로 부동산 시설 요동
서울 마포구의 아파트 단지 전경이 여의도 63빌딩에서 바라보인다. 최혁 기자 촬영최근 강남과 '마용성' 등 한강 인근 지역의 주택 가격 급상승 추세가 주춤하고 있다. 이는 정부가 지난달 말 발표한 '가계부채 관리 대책'에 따른 강도 높은 대출 제한 조치의 영향으로 보인다. 한국부동산원의 17일 자료에 의하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가격은 전주 대비 0.19% 상승했으나, 그 증가율이 점차 둔화되고 있다. 정부의 규제 발표 이후 3주 연속 가격 상승률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초부터 가파르게 오르던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한강 인근 지역의 가격 상승률이 동시에 둔화되었다. 마포·용산·성동구 역시 가격 상승 속도가 느려지는 모습이다. 강남구 역삼동 '래미안 그레이튼2차' 84㎡(8층)는 지난 4일 30억원에 거래되었는데, 이는 정부 대책 발표 전인 지난달 20일 동일 규모·층의 매물이 33억원에 거래된 것에 비해 3억원 하락한 수치다.

마포구 상암동 '상암월드컵파크3단지' 84㎡ 아파트는 5월 12억원(7층)에 팔렸으나, 이달 1일에는 8억원에 계약이 체결되며 두 달 만에 4억원(33.3%)이 급락했다. 성산동 '성산시영' 50㎡ 아파트도 지난달 25일 11억5000만원에서 이달 1일 7억2000만원으로 4억3000만원(37.4%) 떨어졌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이번 주 가격 상승률이 확대된 지역은 도봉구가 유일했다.

아파트 거래량도 정부 조치 이후 급격히 감소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이달 1~16일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981건으로 지난달 동기 대비 4532건(82%)이 줄었다. 거래 신고 기한이 남아 있어 최종 감소율은 다소 완화될 전망이지만, 구매자들의 심리가 크게 위축되었음을 보여준다.

재건축 수요로 가격이 상승하던 경기 성남시 분당구와 과천시 등에서도 2주 연속 가격 상승폭이 축소되었다. 신한 프리미어 패스파인더의 양지영 전문위원은 "정부 대책 발표 후에도 대통령의 '맛보기' 발언으로 인해 시장 참여자들이 관망하는 분위기"라며 "과열되었던 경기권 인기 지역도 조정 국면에 접어든 것 같다"고 분석했다.

수도권에서 10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 계약 취소 비율도 정책 발표 후 증가했다. 부동산 플랫폼 집토스의 분석에 따르면, 6월 27일까지 체결된 수도권 아파트 매매 계약 중 정책 발표 후 해지된 거래의 35.0%가 10억원 초과 매물이었다. 이는 정책 전 26.9% 대비 8.1%p 증가한 수치다. 반면 5억원 이하 저가 아파트의 계약 취소 비율은 32.2%에서 25.1%로 감소했다. 집토스 관계자는 "이번 대책이 고가 주택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며 "구매자들의 심리적 부담이 계약금 포기로 이어진 사례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서울 전세 시장은 이번 주 0.07% 소폭 상승했으나,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송파구 전세가는 0.27% 상승하며 2주 연속 증가폭이 확대된 반면, 서초구는 대규모 단지 입주 영향으로 0.18% 하락해 5주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일부 공급 과잉 지역에서는 전세가가 떨어졌지만, 전체적으로는 매물 부족으로 인한 상승 압력이 더 컸다"고 말했다. 아실에 따르면 17일 현재 서울 전세 매물은 2만5002건으로 작년 말보다 21%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대출 규제가 전세 공급을 줄여 전세가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전국 전세가 상승률은 전주 0.01%에서 0.02%로 미미하게 증가했으며, 세종·대전·충남 등에서 뚜렷한 변화가 관찰되었다.

안정락/손주형/임근호 기자

🏆 관련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