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속보
"2억 계약금을 잃었지만…" 30억 아파트 구매를 포기한 사연
신채영 기자|

대출 규제 강화로 인한 계약 취소 '뛰어오르'
"'고점 매수' 불안감에 막대한 계약금도 포기"
사진=뉴스1
#. 송파구 소재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전해진 바에 따르면, 한 구매자가 대출 제한 조치 이전에 30억 원 상당의 아파트 매매 계약을 체결하고 2억 원의 계약금을 지불했으나, 지난달 27일 정부 발표 이후 계약을 철회했다. 이는 규제로 인한 주가 하락 우려 때문에 계약금을 포기한 결정으로 분석된다.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을 최대 6억 원으로 제한하는 '6·27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10억 원을 넘는 고가 아파트 거래 취소율이 현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부동산 플랫폼 집토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27일까지 체결된 수도권 아파트 매매 계약 해지 건수 중 10억 원 초과 물건의 비율은 정책 발표 후 35%를 기록하며, 발표 전(26.9%) 대비 8.1%p 상승했다.
동일 기간 5억 원 이하 아파트 계약 해지율은 32.2%에서 25.1%로, 5억~10억 원 대는 40.9%에서 40%로 감소한 것과 대조를 보였다.
고급 주택이 밀집한 서초구의 계약 해지 비율은 정책 발표 전 2.5%에서 이후 5.7%로, 강남구는 5.1%에서 6.5%로 각각 증가했다.
고가 아파트의 경우 가격 하락 시 피해 규모가 클 수 있어 구매자들이 '고점 매수'에 대한 심리적 압박을 느끼며, 계약금을 포기하고 거래를 취소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가격 상승률이 비교적 낮았던 노원구(5.3%→7.3%), 도봉구(1.4%→1.9%), 강북구(1.3%→1.9%)에서도 계약 해지 비율이 상승했다. 이는 자본이 부족한 '극한 투자자'들이 주가 하락과 금리 부담을 우려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이번 정책이 '주택 가격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강력한 신호를 시장에 전달했다"며 "고가 아파트 구매자들은 자산 보호 심리로, 영끌 투자자들은 손실 제한 심리로 같은 행동(계약 취소)을 선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점 매수' 불안감에 막대한 계약금도 포기"
사진=뉴스1
#. 송파구 소재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전해진 바에 따르면, 한 구매자가 대출 제한 조치 이전에 30억 원 상당의 아파트 매매 계약을 체결하고 2억 원의 계약금을 지불했으나, 지난달 27일 정부 발표 이후 계약을 철회했다. 이는 규제로 인한 주가 하락 우려 때문에 계약금을 포기한 결정으로 분석된다.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을 최대 6억 원으로 제한하는 '6·27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10억 원을 넘는 고가 아파트 거래 취소율이 현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부동산 플랫폼 집토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27일까지 체결된 수도권 아파트 매매 계약 해지 건수 중 10억 원 초과 물건의 비율은 정책 발표 후 35%를 기록하며, 발표 전(26.9%) 대비 8.1%p 상승했다.
동일 기간 5억 원 이하 아파트 계약 해지율은 32.2%에서 25.1%로, 5억~10억 원 대는 40.9%에서 40%로 감소한 것과 대조를 보였다.
고급 주택이 밀집한 서초구의 계약 해지 비율은 정책 발표 전 2.5%에서 이후 5.7%로, 강남구는 5.1%에서 6.5%로 각각 증가했다.
고가 아파트의 경우 가격 하락 시 피해 규모가 클 수 있어 구매자들이 '고점 매수'에 대한 심리적 압박을 느끼며, 계약금을 포기하고 거래를 취소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가격 상승률이 비교적 낮았던 노원구(5.3%→7.3%), 도봉구(1.4%→1.9%), 강북구(1.3%→1.9%)에서도 계약 해지 비율이 상승했다. 이는 자본이 부족한 '극한 투자자'들이 주가 하락과 금리 부담을 우려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이번 정책이 '주택 가격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강력한 신호를 시장에 전달했다"며 "고가 아파트 구매자들은 자산 보호 심리로, 영끌 투자자들은 손실 제한 심리로 같은 행동(계약 취소)을 선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