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속보
"억 단위 손실 우려에 계약금 포기" 영끌족들 속속 계약 취소
정우진 기자|

6·27 부동산 규제 조치 이후 주택 매수 욕구 감소
10억 원 이상 고가 아파트 계약 해제율 8%p 급등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을 6억 원으로 제한하는 내용의 6·27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10억 원을 넘는 고가 아파트의 계약 취소 비율이 8%p 가량 크게 증가했다. 이는 주택 시장의 구매 심리가 크게 약화되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다.
17일 부동산 플랫폼 집토스의 분석에 따르면, 6월 27일까지 체결된 수도권 아파트 매매 계약 해제 내역 중 10억 원 초과 물건의 비율은 대책 발표 후 35.0%로, 이전(26.9%) 대비 현저히 높아졌다. 대출 제한 대상이 아닌 기존 계약자들까지 미래 주가 하락에 대한 불안으로 계약을 철회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정책의 영향은 특히 고가 아파트 시장에서 두드러졌다. 계약이 취소된 아파트 중 5억 원 이하 주택의 비율은 32.2%에서 25.1%로 감소한 반면, 10억 원 이상 고가 아파트의 비중은 뚜렷하게 증가했다.
고액 자산일수록 가격 하락 시 피해 규모가 커질 수 있어, 구매자들이 '고점 매수'에 대한 심리적 압박을 느끼며 계약금을 포기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서울에서는 시장의 극단적 양극단 지역이 동시에 영향을 받는 특이한 현상이 관찰됐다.
서초구는 고가 아파트 밀집지역으로서 계약 해제 비율이 2.5%에서 5.7%로 2.3배 가량 증가했으며, 강남구도 5.1%에서 6.5%로 상승했다. 이는 자산 가치 감소에 대한 우려가 직접적인 계약 취소로 연결된 결과다.
동시에 영끌 구매가 활발했던 노원구의 계약 해제 비율도 5.3%에서 7.3%로 급증했고, 강북구와 도봉구 등에서도 유사한 추세를 보였다. 이는 자본력이 부족한 구매자들이 주가 하락과 금리 부담에 대한 공포로 서둘러 계약을 파기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번 분석은 신고 기한(30일)에 따른 자료 수집 시차를 고려해, 각 시점별 계약 해제 건수에서 특정 가격대와 지역의 점유 비율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이번 정책이 '주택 가격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시장에 전달했다"며 "고가 아파트 구매자들은 자산 보호 심리로, 영끌 구매자들은 손실 제한 심리로 같은 계약 취소 행동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가 아파트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6·27 부동산 대책 #매매 해제 #집값 하락
10억 원 이상 고가 아파트 계약 해제율 8%p 급등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을 6억 원으로 제한하는 내용의 6·27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10억 원을 넘는 고가 아파트의 계약 취소 비율이 8%p 가량 크게 증가했다. 이는 주택 시장의 구매 심리가 크게 약화되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다.
17일 부동산 플랫폼 집토스의 분석에 따르면, 6월 27일까지 체결된 수도권 아파트 매매 계약 해제 내역 중 10억 원 초과 물건의 비율은 대책 발표 후 35.0%로, 이전(26.9%) 대비 현저히 높아졌다. 대출 제한 대상이 아닌 기존 계약자들까지 미래 주가 하락에 대한 불안으로 계약을 철회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정책의 영향은 특히 고가 아파트 시장에서 두드러졌다. 계약이 취소된 아파트 중 5억 원 이하 주택의 비율은 32.2%에서 25.1%로 감소한 반면, 10억 원 이상 고가 아파트의 비중은 뚜렷하게 증가했다.
고액 자산일수록 가격 하락 시 피해 규모가 커질 수 있어, 구매자들이 '고점 매수'에 대한 심리적 압박을 느끼며 계약금을 포기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서울에서는 시장의 극단적 양극단 지역이 동시에 영향을 받는 특이한 현상이 관찰됐다.
서초구는 고가 아파트 밀집지역으로서 계약 해제 비율이 2.5%에서 5.7%로 2.3배 가량 증가했으며, 강남구도 5.1%에서 6.5%로 상승했다. 이는 자산 가치 감소에 대한 우려가 직접적인 계약 취소로 연결된 결과다.
동시에 영끌 구매가 활발했던 노원구의 계약 해제 비율도 5.3%에서 7.3%로 급증했고, 강북구와 도봉구 등에서도 유사한 추세를 보였다. 이는 자본력이 부족한 구매자들이 주가 하락과 금리 부담에 대한 공포로 서둘러 계약을 파기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번 분석은 신고 기한(30일)에 따른 자료 수집 시차를 고려해, 각 시점별 계약 해제 건수에서 특정 가격대와 지역의 점유 비율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이번 정책이 '주택 가격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시장에 전달했다"며 "고가 아파트 구매자들은 자산 보호 심리로, 영끌 구매자들은 손실 제한 심리로 같은 계약 취소 행동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가 아파트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6·27 부동산 대책 #매매 해제 #집값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