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성장호르몬 오남용 경고…10%에서 부작용 발생, 손·발 비대 등 증상 보고
신채영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1일 성장호르몬 제제의 적절한 사용을 촉구하며 부작용 주의를 당부했다. 해당 약물은 뇌하수체 기능 이상이나 터너증후군 등으로 인한 성장 장애 치료제로, 최근 '키 성장 주사'로 잘못 알려져 남용 사례가 늘고 있다.
성장호르몬은 전문의의 처방 없이 장기간 과도하게 투여할 경우 거인증이나 말단비대증(손·발 비대)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정상적인 사용 시에도 주사 부위 통증, 출혈, 멍 등이 흔히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식약처는 그동안 성장호르몬 제제의 안전한 사용법을 설명하는 교육 자료를 제작해 전국 의료기관과 보건소에 배포해왔다. 또한 과장 광고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며 소비자 보호에 나섰다.
앞으로도 지자체와 협력해 병원 및 약국을 대상으로 현장 점검을 강화할 예정이다. 약물 적응증, 정확한 투여 방법, 주의사항, 부작용 신고 절차 등을 상세히 안내하는 자료를 추가 제작할 방침이다.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과 공동으로 이상 사례 감시 체계도 구축한다.
의약품 사용 중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발생할 경우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의 피해구제 제도를 활용할 수 있다. 식약처는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해 의약품 안전 사용 환경 조성에 지속적으로 힘쓸 계획이라고 밝혔다.
성장호르몬은 전문의의 처방 없이 장기간 과도하게 투여할 경우 거인증이나 말단비대증(손·발 비대)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정상적인 사용 시에도 주사 부위 통증, 출혈, 멍 등이 흔히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식약처는 그동안 성장호르몬 제제의 안전한 사용법을 설명하는 교육 자료를 제작해 전국 의료기관과 보건소에 배포해왔다. 또한 과장 광고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며 소비자 보호에 나섰다.
앞으로도 지자체와 협력해 병원 및 약국을 대상으로 현장 점검을 강화할 예정이다. 약물 적응증, 정확한 투여 방법, 주의사항, 부작용 신고 절차 등을 상세히 안내하는 자료를 추가 제작할 방침이다.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과 공동으로 이상 사례 감시 체계도 구축한다.
의약품 사용 중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발생할 경우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의 피해구제 제도를 활용할 수 있다. 식약처는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해 의약품 안전 사용 환경 조성에 지속적으로 힘쓸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