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단독] "좌파가 인명피해 유발" 주장한 학계 인사, 尹 정부 계엄 논란에 "응답 거부"

최예나 기자|
[단독] "좌파가 인명피해 유발" 주장한 학계 인사, 尹 정부 계엄 논란에 "응답 거부"
극우 성향의 김주성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사장이 10일 예정된 리박스쿨 관련 국회 청문회 불참을 통보하고 미국으로 출국한 가운데, 12·3 비상계엄의 위법성 질의에 답변을 거부하며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윤석열 정부가 임명한 김 이사장은 국가교육위원회 비상임위원을 겸직 중이며, 리박스쿨과의 긴밀한 연관성으로 '정치학교장' 의혹을 받아왔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백승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입수한 답변서에 따르면, 김 이사장은 계엄령의 위헌성 관련 질문에 "양심의 자유를 침해하는 질문"이라며 명확한 입장 표명을 회피했다. 헌법재판소가 계엄 선포 및 관련 조치들의 위법성을 이미 판결했음에도 불구하고, 김 이사장은 이에 대한 수용 여부를 밝히지 않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속 교수 40여 명의 시국선언에 대해선 "연구기관의 정치적 중립성 훼손"이라며 부정적 입장을 표명했던 김 이사장은 리박스쿨과의 오랜 협력 관계로 논란을 빚어왔다. 2020-2021년 리박스쿨 교육 프로그램 강연을 비롯해 '청소년 근현대사 교과서 편찬추진위원회' 활동 경력이 확인되며, 과거 발표에서 "좌파 세력이 민주화 운동가들의 희생을 초래했다"는 논란의 발언도 재조명되고 있다.

김 이사장은 문제 발언에 대해 "저항운동의 희생적 특성을 비유한 표현"이라 해명했으며, 정치학교장 직무 수행 사실은 부인했다. 그러나 10일 청문회에 증인으로 소환된 손효숙 리박스쿨 대표, 이주호 교육부 장관 등과 달리 해외 일정을 이유로 불참 의사를 밝혔다.

역사학계 일각에서는 극우적 성향이 노골적인 인물이 국가 차원의 역사 연구기관을 맡는 것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김 이사장은 "연구원의 설립 목적 실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잔여 임기 2년 동안 직책을 유지할 의사를 비쳤다.

백승아 의원은 "극우 성향이 노출된 인물이 공공연구기관을 이끄는 것은 모순"이라 지적하며, "위법적 계엄에 대한 답변을 회피하는 인사가 직위를 유지하는 것은 연구원의 명예 훼손"이라며 즉각적 사퇴를 촉구했다.

🏆 관련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