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가격이 저렴하다고?" 카트로 쇼핑하는 신개념 약국…1호점 성공에 동네 약국들은 "위기감"

윤아름 기자|
"가격이 저렴하다고?" 카트로 쇼핑하는 신개념 약국…1호점 성공에 동네 약국들은 "위기감"
<앵커>

최근 경기 성남시에 국내 첫 '창고형 약국'이 문을 열었습니다. 대형 마트처럼 카트를 끌고 직접 의약품들을 골라 담을 수 있어서 편리하다는 평가가 많지만, 약사들의 반응은 좀 다릅니다.

장훈경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지난 11일 문을 연 '창고형 약국.

430㎡로 최근 개설된 약국들 평균의 7배 정도 큰 규모인데 카트나 장바구니에 의약품을 골라 담는 손님들로 가득합니다.



7명 정도의 약사들이 머물며 약 설명과 추천을 해 줍니다.

[남은정/경기 시흥시 : 많이 계시니까 여쭤보려고 생각하고 있어요. 또 와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정두선/창고형 약국 대표 : 생각했던 것보다 소비자의 반응이 굉장히 크기 때문에 2~3년 후에 계획을 하고 있었지만 지금 현재 계획 중입니다.]

소비자들은 대체로 '환영' 분위기인데, 일선 약국들은 긴장감을 감추지 못합니다.

전국 약국은 2005년 처음으로 2만 곳을 넘은 뒤 2023년에는 2만 4천여 곳으로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라, 경쟁이 이미 치열하기 때문입니다.

[A 약사/경기도 성남 : 이익만을 따지는 사람들이 자꾸 이런 쪽에도 들어오면 경제 논리에 의해서 작은 약국들이 없어질 수도 있잖아요.]

의약품은 필요할 때 적정량을 써야 하는데 창고형 약국이 대량 구매를 부추겨 약물 오남용이 우려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B 약사/경기도 성남 : 맞는 약을 줘야 되잖아요.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다른 건데. 의무이자 어떤 역할 같은 걸 거의 많이 무시한 채 너무 자본 경쟁으로만….]

대한약사회는 "창고형이라는 공산품 판매 방식을 약국에 적용하는 건, 약국의 공공성과 전문성을 부정하고 약사의 직업윤리와 정체성을 훼손하는 일탈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하면서 적극 대응을 예고했습니다.




---

<앵커>

이 내용 취재한 장훈경 기자와 더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Q. 창고형 약국 확산 가능성..약사 반발은?

취재한 창고형 약국에서는 근무 중인 약사들을 노출하지 말아 달라고 거듭 부탁했습니다. 이미 약사들의 사진이나 실명 등의 개인정보가 단체 대화방 등에서 노출돼서 비난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약사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이번에 문을 연 '창고형 약국' 같은 형태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큽니다. 의약품은 판매자 가격 표시제로, 약국이 자율적으로 가격을 결정하는데, 제약사에서 사들인 가격보다 싸게만 팔지 않으면 돼서, 박리다매가 가능한 창고형 약국이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창고형 약국 측은 앞으로 처방전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은 취급하지 않겠다며 일반 약국과는 상권이 자연스레 분리될 거라고 밝혔습니다.]

Q. 창고형 약국..복지부 입장은?

장훈경 기자 인/기/기/사◆ 중국무대 선 '이수만 걸그룹'…한국인 있으면 돌연 취소?◆ 거부, 거부, 또 거부…검찰 포토라인서 윤석열만 달랐다◆ 127만 가구 직격탄…"마포 대신" 영끌 막히자 눈 돌리나◆ 2박3박 결혼식에 1.5조 효과…"억만장자 놀이터?" 시끌◆ 머리채 잡고 숯불로 달궜다…CCTV 찍힌 반전 '충격'▶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가장 확실한 SBS 제보 {
setYoutube();
function setYoutube() { if{ frmTarget.find.each(function { $.css({'height': parseInt($.width() / 1.8)}); window.parent.postMessage({ method: 'fnct', name: 'callFnct', property: {target: 'youtube_resize_iframe', elementClass: '.frameMV', height: parseInt($.width() / 1.8), idx: idx} }, '*'); }); } }
});

🏆 관련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