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한 조각에 1만8000원?" 갈치구이 부족한 분량에 소비자들 당혹

신채영 기자|
"한 조각에 1만8000원?" 갈치구이 부족한 분량에 소비자들 당혹
출처 = 온라인 커뮤니티
폭염이 계속되면서 식재료 가격 급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농산물은 봄철 이상 저온으로 생산량이 감소했고, 수산물은 해수 온도 상승으로 어획량이 줄어 공급에 차질을 빚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 식당에서 1만8000원을 주고 주문한 갈치구이가 고작 한 조각만 나왔다는 소비자 후기가 온라인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지난 23일 인터넷 게시판에 글을 올린 A씨는 "지난주 한 횟집에서 갈치구이와 해물라면을 시켰다"며 "라면이 나온 뒤 손바닥 크기의 생선 한 조각이 제공되자 당황해 사장님께 확인했더니 '갈치 가격이 크게 올랐다'는 답변을 들었다"고 말했다.

A씨는 "사장님은 '다른 가게도 상황이 비슷하다'며 '오히려 큰 편으로 준 것'이라고 설명했다"고 전하며 최근 물가 상황을 잘 모르는 건지 의아해했다.

최근 이상 기후로 인해 '기후 인플레이션' 현상까지 우려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고수온 위기경보를 '경계' 단계로 상향 조정하고, 고등어 등 비축 수산물을 시장에 풀어 대응 중이다.

2023년 연근해 어업 생산량은 고수온 영향으로 고등어, 살오징어 등의 어획량이 급감해 53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통계청의 2024년 어업생산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연근해 어업 생산량은 전년 대비 11만1000톤 감소한 84만1000톤으로 집계됐다. 이는 1971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며, 고등어 17.4%, 살오징어 42.0%, 멸치 18.8%, 갈치 26.6% 등 주요 어종의 어획량이 크게 줄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의하면, 지난달 수산물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7.4% 상승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앞질렀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업관측센터는 올해 주요 양식 어종인 광어와 우럭의 도매 가격이 작년보다 더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7월 기준 광어 가격은 13.2%, 우럭은 32.1% 각각 인상될 전망이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 관련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