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단통법' 22일 공식 폐지…완전 무료폰부터 '돈 받고 사는 폰'까지 가능
김민준 기자|

휴대전화 지원금 규제 법안인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이 22일자로 공식 폐지되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휴대폰 가격 전액 지원은 물론, 단말기 값보다 더 많은 금액을 지원받는 '마이너스폰' 구매도 가능해졌다.
단통법 폐지로 인해 통신사들은 더 이상 지원금 공시 의무를 지지 않게 되었으며, 기존 15%로 제한되었던 공시지원금 상한제도 사라졌다. 이제 통신사는 공통지원금을 제공하고, 대리점들은 자체 판단에 따라 추가 보조금을 자유롭게 지급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출고가 100만 원짜리 휴대폰에 50만 원의 공시 지원금이 적용될 경우, 과거에는 최대 7만5천 원만 추가 지원이 가능했으나, 이제는 판매처에 따라 지원금 규모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계약서에 명시하기만 하면 과거 불법이었던 페이백 등의 다양한 지원 형태도 허용된다. 이에 따라 단말기 전액 지원이나 기기 값보다 더 많은 금액을 돌려받는 경우도 발생할 전망이다.
통신사들은 공시 의무가 없어졌지만, 방송통신위원회와 협의하여 자율적으로 홈페이지에 공통 지원금 정보를 매일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한편, 월 통신요금을 최대 25%까지 할인해주는 선택약정 할인 제도는 계속 유지되며, 이제는 다른 지원금과 중복 수령도 가능해졌다.
이번 조치로 소비자들은 더 저렴한 가격에 휴대폰을 구입할 수 있게 되었지만, 과도한 영업 경쟁과 이에 따른 부실 판매 등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 한국소비자원 자료에 따르면, 올해 1~4월 이동전화 서비스 관련 피해구제 신청 건수는 333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7% 증가했으며, 특히 65세 이상 고령층의 신청 건수는 28건에서 39건으로 39.3% 급증했다. 대부분의 피해 사례는 실제 청구된 단말기 가격과 월 요금이 계약 시 안내받은 내용과 다른 경우였다.
통신업계에서는 각사의 마케팅 예산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인공지능(AI) 관련...
단통법 폐지로 인해 통신사들은 더 이상 지원금 공시 의무를 지지 않게 되었으며, 기존 15%로 제한되었던 공시지원금 상한제도 사라졌다. 이제 통신사는 공통지원금을 제공하고, 대리점들은 자체 판단에 따라 추가 보조금을 자유롭게 지급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출고가 100만 원짜리 휴대폰에 50만 원의 공시 지원금이 적용될 경우, 과거에는 최대 7만5천 원만 추가 지원이 가능했으나, 이제는 판매처에 따라 지원금 규모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계약서에 명시하기만 하면 과거 불법이었던 페이백 등의 다양한 지원 형태도 허용된다. 이에 따라 단말기 전액 지원이나 기기 값보다 더 많은 금액을 돌려받는 경우도 발생할 전망이다.
통신사들은 공시 의무가 없어졌지만, 방송통신위원회와 협의하여 자율적으로 홈페이지에 공통 지원금 정보를 매일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한편, 월 통신요금을 최대 25%까지 할인해주는 선택약정 할인 제도는 계속 유지되며, 이제는 다른 지원금과 중복 수령도 가능해졌다.
이번 조치로 소비자들은 더 저렴한 가격에 휴대폰을 구입할 수 있게 되었지만, 과도한 영업 경쟁과 이에 따른 부실 판매 등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 한국소비자원 자료에 따르면, 올해 1~4월 이동전화 서비스 관련 피해구제 신청 건수는 333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7% 증가했으며, 특히 65세 이상 고령층의 신청 건수는 28건에서 39건으로 39.3% 급증했다. 대부분의 피해 사례는 실제 청구된 단말기 가격과 월 요금이 계약 시 안내받은 내용과 다른 경우였다.
통신업계에서는 각사의 마케팅 예산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인공지능(AI)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