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직원 회식비 300원 요구" 냉면집, 팁 문화 도입 시도 논란
임현우 기자|

서울 소재 한 냉면집이 직원들의 회식비를 명목으로 고객에게 추가 금액을 요청하며 물의를 빚고 있다. 21일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해당 가게의 키오스크 주문 화면 캡처가 '팁 제도 도입을 시도하는 냉면집'이라는 제목과 함께 확산되고 있다.
공개된 사진 속 주문 화면에는 물냉면을 선택할 경우 '곱빼기 추가(2,000원)', '다데기 제외', '다데기 분리 제공' 등의 옵션과 함께 최상단에 '근로자 회식비'라는 항목이 눈에 띈다. 이 항목을 선택하면 300원이 추가로 청구되는 구조다.
해당 게시물 작성자는 "300원 자체는 큰 금액이 아니지만, 직원들의 회식비를 소비자에게 부담시키는 방식이 문제"라고 지적하며 "선택 사항이라고 해도 팁 문화를 조장하는 시도 자체가 불편하다"고 밝혔다.
이에 네티즌들은 "키오스크로 주문하는 시스템에서 무슨 서비스에 팁을 주라는 건지", "이미 9,000원이나 하는 냉면값에 직원 회식비까지 내야 하냐", "회식비는 경영자가 책임져야 할 부분", "과연 이 돈이 실제로 회식비로 사용될지 의문" 등 다양한 비판 의견을 제기했다.
국내에서 팁을 둘러싼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일부 피자 전문점은 2,000원의 팁을 필수로 결제하게 해 논란이 됐으며, 어떤 국밥집은 반찬를 포기할 경우 900원을 할인해 주는 방식으로 사실상의 강제 팁 제도를 운영해 비판을 받은 바 있다.
현행 식품위생법은 부가가치세와 봉사료를 모두 포함한 총액을 메뉴판에 명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소비자에게 별도의 봉사료를 의무적으로 요구하는 행위는 명백한 위법 행위에 해당한다.
공개된 사진 속 주문 화면에는 물냉면을 선택할 경우 '곱빼기 추가(2,000원)', '다데기 제외', '다데기 분리 제공' 등의 옵션과 함께 최상단에 '근로자 회식비'라는 항목이 눈에 띈다. 이 항목을 선택하면 300원이 추가로 청구되는 구조다.
해당 게시물 작성자는 "300원 자체는 큰 금액이 아니지만, 직원들의 회식비를 소비자에게 부담시키는 방식이 문제"라고 지적하며 "선택 사항이라고 해도 팁 문화를 조장하는 시도 자체가 불편하다"고 밝혔다.
이에 네티즌들은 "키오스크로 주문하는 시스템에서 무슨 서비스에 팁을 주라는 건지", "이미 9,000원이나 하는 냉면값에 직원 회식비까지 내야 하냐", "회식비는 경영자가 책임져야 할 부분", "과연 이 돈이 실제로 회식비로 사용될지 의문" 등 다양한 비판 의견을 제기했다.
국내에서 팁을 둘러싼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일부 피자 전문점은 2,000원의 팁을 필수로 결제하게 해 논란이 됐으며, 어떤 국밥집은 반찬를 포기할 경우 900원을 할인해 주는 방식으로 사실상의 강제 팁 제도를 운영해 비판을 받은 바 있다.
현행 식품위생법은 부가가치세와 봉사료를 모두 포함한 총액을 메뉴판에 명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소비자에게 별도의 봉사료를 의무적으로 요구하는 행위는 명백한 위법 행위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