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주택가격 상승세에 금리 동결 결정..."조기 안정화 가능성 불확실"
최예나 기자|

<앵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2.5%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번 결정은 수도권 주택가격 급등과 가계부채 증가라는 경제 상황을 고려한 조치입니다.
박재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7월 첫 주 서울 아파트 가격은 0.29% 상승하며, 2주 연속 상승폭이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지난 28일부터 적용된 정부의 강력한 대출 제한 조치가 일정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강남, 송파, 강동 등 강남권 지역의 가격 상승률은 전주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습니다. 반면 마포, 성동 등 일부 한강 인접 지역은 상승세가 완화되긴 했으나 여전히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서울 마포구 부동산 대표 : 가격 변동을 확인하려면 1-2개월 정도 더 지켜봐야 합니다. 가격이 하락할 것 같나요? 일단 상황을 지켜본 후 조정할 계획입니다. 제가 집주인이라도 같은 결정을 내렸을 겁니다.]
금융통화위원회의 금리 동결 결정 역시 수도권 주택가격 상승과 가계대출 증가에 따른 것입니다. 최근 주택가격 상승 추세는 지난해 7-8월보다 더 가파르며,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은 6조 2천억 원 증가해 2022년 8월 이후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습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정부의 대담한 대출 규제 조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주택가격과 가계대출이 빠르게 안정되어 금리 인하 가능성이 생길지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습니다.
[이창용/한국은행 총재 : 현재 상황은 지난번보다 더 경계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얼마나 빨리 '해피엔딩'이 올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태입니다...]
서울 주택가격 상승세가 확산될 경우 청년층의 사회적 불만 등 광범위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금리 인하 시기와 규모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이창용/한국은행 총재 : 관세가 크게 오르는 반면 부동산 가격이 잡히지 않으면 금융 안정과 경제 성장 간의 균형이 크게 무너질 수 있습니다.]
다만, 금통위원 6명 중 4명은 향후 3개월 내 금리 인하 가능성을 배제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으며, 시장에서는 다음 달 금리 인하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박재현 기자 인/기/기/사◆ "악취에 구토할 정도" 아파트 뒤덮은 수천 마리 떼 정체◆ 물놀이하던 대학생 4명 참변…사고 전 안타까운 목격담◆ "불과 몇 분 만에 갑자기…" 자매 참변 화재 원인 나왔다◆ * 제보하기: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2.5%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번 결정은 수도권 주택가격 급등과 가계부채 증가라는 경제 상황을 고려한 조치입니다.
박재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7월 첫 주 서울 아파트 가격은 0.29% 상승하며, 2주 연속 상승폭이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지난 28일부터 적용된 정부의 강력한 대출 제한 조치가 일정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강남, 송파, 강동 등 강남권 지역의 가격 상승률은 전주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습니다. 반면 마포, 성동 등 일부 한강 인접 지역은 상승세가 완화되긴 했으나 여전히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서울 마포구 부동산 대표 : 가격 변동을 확인하려면 1-2개월 정도 더 지켜봐야 합니다. 가격이 하락할 것 같나요? 일단 상황을 지켜본 후 조정할 계획입니다. 제가 집주인이라도 같은 결정을 내렸을 겁니다.]
금융통화위원회의 금리 동결 결정 역시 수도권 주택가격 상승과 가계대출 증가에 따른 것입니다. 최근 주택가격 상승 추세는 지난해 7-8월보다 더 가파르며,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은 6조 2천억 원 증가해 2022년 8월 이후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습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정부의 대담한 대출 규제 조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주택가격과 가계대출이 빠르게 안정되어 금리 인하 가능성이 생길지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습니다.
[이창용/한국은행 총재 : 현재 상황은 지난번보다 더 경계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얼마나 빨리 '해피엔딩'이 올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태입니다...]
서울 주택가격 상승세가 확산될 경우 청년층의 사회적 불만 등 광범위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금리 인하 시기와 규모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이창용/한국은행 총재 : 관세가 크게 오르는 반면 부동산 가격이 잡히지 않으면 금융 안정과 경제 성장 간의 균형이 크게 무너질 수 있습니다.]
다만, 금통위원 6명 중 4명은 향후 3개월 내 금리 인하 가능성을 배제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으며, 시장에서는 다음 달 금리 인하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박재현 기자 인/기/기/사◆ "악취에 구토할 정도" 아파트 뒤덮은 수천 마리 떼 정체◆ 물놀이하던 대학생 4명 참변…사고 전 안타까운 목격담◆ "불과 몇 분 만에 갑자기…" 자매 참변 화재 원인 나왔다◆ * 제보하기: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