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속보

공급 지표 악화 지속…'준공 후 미분양' 11년 11개월 만에 최고치 기록

신채영 기자|
공급 지표 악화 지속…'준공 후 미분양' 11년 11개월 만에 최고치 기록
완공된 주택이 시장에서 판매되지 않는 '준공 후 미분양'(악성 미분양) 물량이 22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며 11년 11개월 만에 최대 수준에 도달했다. 동시에 인허가, 착공, 준공 등 주택 공급 관련 주요 지표들도 계속해서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30일 발표한 '5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총 2만 7013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달 대비 2.2%(591가구) 증가한 수치로, 2013년 6월(2만 7194가구) 이후 13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준공 후 미분양은 건설사의 재정 부담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악성 미분양으로 불린다. 이 같은 현상은 2023년 8월부터 22개월째 지속적으로 증가 중이며, 그중 83%(2만 2397가구)가 지방에 집중되어 있다. 지역별로는 △대구 3844가구 △경북 3357가구 △경남 3121가구 △부산 2596가구 순으로 많았다.

반면 일반 미분양 주택은 4개월 연속 감소했다. 5월 기준 6만 6678가구로, 전월 대비 1.6%(1115가구) 줄었다. 수도권 미분양은 1만 5306가구, 지방은 5만 1372가구로 각각 전월보다 3.8%, 1.0% 감소했다.

5월 주택 인허가는 2만 424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13.1%, 전월 대비 15%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지방이 14.6% 줄어 수도권(-10.8%)보다 더 큰 폭의 감소를 보였다. 착공은 1만 5211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12.3% 감소했으며, 서울은 3692가구로 58.7% 급증했으나 1~5월 누적 기준(1만 787가구)으로는 전년 동기(1만 2131가구) 대비 11.1% 감소했다.

준공 물량은 2만 6537가구로 전년 대비 10.5% 감소했고, 분양량은 1만 1297가구로 44% 급감했다. 수도권 준공은 22.4% 증가한 반면 지방은 36.9% 감소했다.

5월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6만 2703건으로 전월 대비 4.2% 감소했다. 서울은 1만 865가구가 거래되며 2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는데, 이는 3월 강남 3구와 용산구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확대 지정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전월세 거래는 25만 2615건으로 전월 대비 10.5%, 전년 동기 대비 10.9% 증가했다. 1~5월 누적 기준 월세 비중은 61%로 작년 동기 대비 3.2%p 상승했다.

🏠 관련 부동산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