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거래 급감 현상"...서울 부동산 시장 위축시킨 대출 한도 정책
박지후 기자|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을 최대 6억 원까지로 제한한 6·27 대출 규제 조치가 본격적인 효과를 발휘하기 시작했습니다. 강남 3구와 한강 인근 지역을 중심으로 급등하던 주택 가격이 진정되는 모습을 보이며, 매매 양측 모두 기다림 자세를 취하면서 거래량이 급격히 감소했습니다. 현장 상황을 정다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서울 성동구는 '한강벨트'의 한 축으로, 지난달 가장 활발한 부동산 거래를 기록한 지역이었습니다. <최동일/서울 성동구 공인중개사> "6월 초부터 그때까지는 정말 열기가 대단했습니다. 성동구와 마포구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제기되자, 전세 대출을 활용한 갭 투자자들이 서둘러 매입에 나서면서 시장이 과열되었죠." 그러나 강도 높은 대출 규제 시행 후 아파트 최고가 거래가 급감하며 분위기가 완전히 바뀌었습니다. <최동일/서울 성동구 공인중개사> "규제가 발표된 다음 날부터 문의와 거래가 완전히 멈췄습니다. 현재까지요. 연락을 주셨던 분들도 이번 기회는 놓치고 시장 흐름을 지켜보겠다는 반응이 대부분입니다."
마포구 역시 비슷한 상황입니다. <남관현/서울 마포구 공인중개사> "시장이 극도로 예민하게 반응하고 있습니다. 규제 조치가 발표되기 전부터 이미 예상하고 계셨던 분들도 많아서, 그때부터 거래가 줄기 시작했고, 대출 제한이 본격화되자 거래가 사실상 중단되었어요."
올해 서울시 아파트 거래량은 정부 정책 변화에 따라 급격한 증감을 반복해 왔습니다. 이번 달에는 대출 규제가 본격 시행되면서 거래량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률도 뚜렷이 둔화되었으며, 특히 강남 3구와 성동구, 마포구 등 한강 인근 지역의 급등세가 현저히 꺾였습니다. <김효선/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 "6억 원 대출 한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현재 12억 원에서 20억 원 초반대 주택이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어요. 해당 가격대 주택 거래가 급감했으며, 향후 가격 하락 압력도 예상됩니다."
다만, 단순한 수요 억제만으로는 장기적인 주택 가격 안정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권대중/서강대 일반대학원 부동산학 교수> "현재 주가가 정부의 강력한 대출 제한으로 일시적으로 주춤하고 있지만, 가을 이사 시즌이 되면 중저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가격이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양질의 주택을 원하는 잠재 수요가 계속 축적되고 있어, 부동산 가격 장기 안정을 위해서는 대량 공급 계획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연합뉴스TV 정다미입니다.
서울 성동구는 '한강벨트'의 한 축으로, 지난달 가장 활발한 부동산 거래를 기록한 지역이었습니다. <최동일/서울 성동구 공인중개사> "6월 초부터 그때까지는 정말 열기가 대단했습니다. 성동구와 마포구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제기되자, 전세 대출을 활용한 갭 투자자들이 서둘러 매입에 나서면서 시장이 과열되었죠." 그러나 강도 높은 대출 규제 시행 후 아파트 최고가 거래가 급감하며 분위기가 완전히 바뀌었습니다. <최동일/서울 성동구 공인중개사> "규제가 발표된 다음 날부터 문의와 거래가 완전히 멈췄습니다. 현재까지요. 연락을 주셨던 분들도 이번 기회는 놓치고 시장 흐름을 지켜보겠다는 반응이 대부분입니다."
마포구 역시 비슷한 상황입니다. <남관현/서울 마포구 공인중개사> "시장이 극도로 예민하게 반응하고 있습니다. 규제 조치가 발표되기 전부터 이미 예상하고 계셨던 분들도 많아서, 그때부터 거래가 줄기 시작했고, 대출 제한이 본격화되자 거래가 사실상 중단되었어요."
올해 서울시 아파트 거래량은 정부 정책 변화에 따라 급격한 증감을 반복해 왔습니다. 이번 달에는 대출 규제가 본격 시행되면서 거래량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률도 뚜렷이 둔화되었으며, 특히 강남 3구와 성동구, 마포구 등 한강 인근 지역의 급등세가 현저히 꺾였습니다. <김효선/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 "6억 원 대출 한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현재 12억 원에서 20억 원 초반대 주택이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어요. 해당 가격대 주택 거래가 급감했으며, 향후 가격 하락 압력도 예상됩니다."
다만, 단순한 수요 억제만으로는 장기적인 주택 가격 안정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권대중/서강대 일반대학원 부동산학 교수> "현재 주가가 정부의 강력한 대출 제한으로 일시적으로 주춤하고 있지만, 가을 이사 시즌이 되면 중저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가격이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양질의 주택을 원하는 잠재 수요가 계속 축적되고 있어, 부동산 가격 장기 안정을 위해서는 대량 공급 계획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연합뉴스TV 정다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