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랭킹 속보
부산 여고생 3명 동반 투신 사건…유족이 전하는 숨겨진 진실
신채영 기자|

━1부: 사라진 딸, 풀리지 않는 의문들
"엄마 사랑해요(딸)"
"갑자기 왜 그래? 무섭게(엄마)"
"아녜요 ㅎㅎ(딸)"
"우리 딸 많이 사랑해. 예쁜 우리 애기(엄마)"
지난 6월 21일 자정이 지난 0시 8분부터 9분 사이. 고2 딸 A(18)씨는 어머니 H(46)씨와 카카오톡으로 따뜻한 대화를 나누었다. 그러나 이 대화는 이들이 나눈 마지막 대화가 되었다. 같은 날, A양은 같은 학교 친구 두 명과 함께 20층 아파트 옥상에서 투신했다.
부산 P예술고등학교 여학생 3명의 동반 자살 사건은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사건 직후 '학업 스트레스'가 주된 원인으로 보도되었지만, 의문점들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서 같은 학교 학생 3명이 극단적 선택을 한 진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 이들을 죽음으로 내몬 사회적 책임은 없는가?
- 교육 환경과 관련자들의 역할은 없었는가?
취재진은 이러한 의문점을 확인하기 위해 부산 현장을 방문했다. 조사 결과, 학업 스트레스 외에도 학교 무용 강사와의 갈등, 학교 내 악성 루머, 강사 채용 과정의 문제점, 한국무용 교육 시스템의 특수성 등 복합적인 요인이 드러났다. 경찰과 교육청의 소극적 대응도 문제로 지적되었다.
사건의 실마리를 찾기 위해 취재진은 25일 밤 10시 30분경, 해운대구의 한 음식점에서 A양의 어머니 H씨를 만났다. 딸의 장례를 마친 지 불과 이틀 밖에 지나지 않은 시점이었다. 검은색 모자와 옷으로 애도를 표한 H씨는 피곤한 모습이었다. "방금 경찰 조사를 마치고 왔다"며 이야기를 시작했다.
수집된 정황 증거들은 학업 스트레스 단일 원인설을 반박하고 있었다:
1. A양의 성적은 우수했음
2. 휴대폰에서 삭제된 메시지 존재
3. 학교 무용 강사와의 갈등 경험
4. 학교 내부의 불건전한 분위기
H씨는 무용가를 꿈꾸던 딸을 위해 이중고생을 하고 있었다. 주간에는 시각장애인 활동 보조원으로 일했고, 저녁에는 직접 운영하는 작은 카페에서 가수로 활동했다. 18년 동안 정성껏 키운 딸을 잃은 그녀는 "이해할 수 없는 딸의 선택을 알고 싶다"며 진상 규명을 호소했다.
■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곧 죽을 거야""그 말 하지마"...부산 여고생 3명 마지막 영상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9656
〈7월 9일(수) 2부 'P예고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나'에서 계속〉
"엄마 사랑해요(딸)"
"갑자기 왜 그래? 무섭게(엄마)"
"아녜요 ㅎㅎ(딸)"
"우리 딸 많이 사랑해. 예쁜 우리 애기(엄마)"
지난 6월 21일 자정이 지난 0시 8분부터 9분 사이. 고2 딸 A(18)씨는 어머니 H(46)씨와 카카오톡으로 따뜻한 대화를 나누었다. 그러나 이 대화는 이들이 나눈 마지막 대화가 되었다. 같은 날, A양은 같은 학교 친구 두 명과 함께 20층 아파트 옥상에서 투신했다.
부산 P예술고등학교 여학생 3명의 동반 자살 사건은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사건 직후 '학업 스트레스'가 주된 원인으로 보도되었지만, 의문점들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서 같은 학교 학생 3명이 극단적 선택을 한 진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 이들을 죽음으로 내몬 사회적 책임은 없는가?
- 교육 환경과 관련자들의 역할은 없었는가?
취재진은 이러한 의문점을 확인하기 위해 부산 현장을 방문했다. 조사 결과, 학업 스트레스 외에도 학교 무용 강사와의 갈등, 학교 내 악성 루머, 강사 채용 과정의 문제점, 한국무용 교육 시스템의 특수성 등 복합적인 요인이 드러났다. 경찰과 교육청의 소극적 대응도 문제로 지적되었다.
사건의 실마리를 찾기 위해 취재진은 25일 밤 10시 30분경, 해운대구의 한 음식점에서 A양의 어머니 H씨를 만났다. 딸의 장례를 마친 지 불과 이틀 밖에 지나지 않은 시점이었다. 검은색 모자와 옷으로 애도를 표한 H씨는 피곤한 모습이었다. "방금 경찰 조사를 마치고 왔다"며 이야기를 시작했다.
수집된 정황 증거들은 학업 스트레스 단일 원인설을 반박하고 있었다:
1. A양의 성적은 우수했음
2. 휴대폰에서 삭제된 메시지 존재
3. 학교 무용 강사와의 갈등 경험
4. 학교 내부의 불건전한 분위기
H씨는 무용가를 꿈꾸던 딸을 위해 이중고생을 하고 있었다. 주간에는 시각장애인 활동 보조원으로 일했고, 저녁에는 직접 운영하는 작은 카페에서 가수로 활동했다. 18년 동안 정성껏 키운 딸을 잃은 그녀는 "이해할 수 없는 딸의 선택을 알고 싶다"며 진상 규명을 호소했다.
■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곧 죽을 거야""그 말 하지마"...부산 여고생 3명 마지막 영상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9656
〈7월 9일(수) 2부 'P예고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나'에서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