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속보
햄버거 시장 진짜 죽나요? 파이브가이즈 매각 왜
한지민 기자|

“한화그룹, 버거 브랜드 '파이브가이즈' 매각 검토”
“한화그룹, 버거 브랜드 '파이브가이즈' 매각 검토”
미국 파이브가이즈 햄버거 브랜드를 한화가 국내에 들여온지 불과 2년. 그런데 매각 검토설이 나왔습니다.
미국 파이브가이즈 햄버거 브랜드를 한화가 국내에 들여온지 불과 2년. 그런데 매각 검토설이 나왔습니다.
서울 강남과 여의도, 서울역, 경기 수원 등 국내 곳곳의 파이브가이즈 매장들은 어떨까요. 줄서기는 예전만 못하지만 장사가 안되진 않아 보인다는게 중론입니다. 야심차게 브랜드를 들여온지도 2년밖에 안됐죠.
서울 강남과 여의도, 서울역, 경기 수원 등 국내 곳곳의 파이브가이즈 매장들은 어떨까요.
줄서기는 예전만 못하지만 장사가 안되진 않아 보인다는게 중론입니다. 야심차게 브랜드를 들여온지도 2년밖에 안됐죠.
그렇다면 국내 햄버거 시장이 좋지 않거나 앞으로 좋지 않아질 거라고 봐서 일까요?
그렇다면 국내 햄버거 시장이 좋지 않거나 앞으로 좋지 않아질 거라고 봐서 일까요?
아니면 파이브가이즈의 다른 문제나 한화그룹의 다른 속내 때문일까요. 아니면 파이브가이즈 본사와의 로열티 문제일까요. 살펴 보겠습니다.
아니면 파이브가이즈의 다른 문제나 한화그룹의 다른 속내 때문일까요. 아니면 파이브가이즈 본사와의 로열티 문제일까요. 살펴 보겠습니다.
파이브가이즈 한국 인스타그램
파이브가이즈 한국 인스타그램
햄버거 강세인 1인가구, 2015년 이후 50% 증가...‘나쁘진 않네’
햄버거 강세인 1인가구, 2015년 이후 50% 증가...‘나쁘진 않네’
햄버거는 1인 가구, 1인 구매와 배달에 강한 메뉴입니다.
햄버거는 1인 가구, 1인 구매와 배달에 강한 메뉴입니다.
그렇다면 외식시장에서 보는 1인 가구 관련 지표들은 어떨까. 통계청 인구주택 총조사 등에 따르면 지난 2015년 520만 가구이던 1인 가구 숫자는 2023년 780만이 넘어 8년새 50% 늘었습니다.(표 빨간색 부분)
그렇다면 외식시장에서 보는 1인 가구 관련 지표들은 어떨까. 통계청 인구주택 총조사 등에 따르면 지난 2015년 520만 가구이던 1인 가구 숫자는 2023년 780만이 넘어 8년새 50% 늘었습니다.(표 빨간색 부분)
통계청의 월평균 가계소비 지출 중 음식 매출 비중을 봐도 코로나 이후 상승세는 두드러집니다.
통계청의 월평균 가계소비 지출 중 음식 매출 비중을 봐도 코로나 이후 상승세는 두드러집니다.
코로나 이후 외식산업 매출이나 비중은 나쁘지 않습니다.(꺾은선 그래프 빨간색)
코로나 이후 외식산업 매출이나 비중은 나쁘지 않습니다.(꺾은선 그래프 빨간색)
국내 버거시장 2020년 이후 5년간 50% 성장
국내 버거시장 2020년 이후 5년간 50% 성장
2020년 한국의 버거 시장은 2조6000억원 플러스 알파 정도의 규모였습니다. 알파로 표현한 것은 연매출 100억원 이하는 잘 집게가 되지 않아서입니다.
2020년 한국의 버거 시장은 2조6000억원 플러스 알파 정도의 규모였습니다. 알파로 표현한 것은 연매출 100억원 이하는 잘 집게가 되지 않아서입니다.
이후 2024년 국내 버거 시장은 4조원 플러스 알파 규모로 컸습니다. 5년만에 53% 커진 것입니다.
이후 2024년 국내 버거 시장은 4조원 플러스 알파 규모로 컸습니다. 5년만에 53% 커진 것입니다.
맥도날드 같은 경우 2020년 7900억원 매출을 올리다 2024년 1조2000억원까지 올라갔습니다. 바스버거 정도가 매출이 줄었지만 대부분의 버거 브랜드가 모두 매출이 크게 올랐습니다.
맥도날드 같은 경우 2020년 7900억원 매출을 올리다 2024년 1조2000억원까지 올라갔습니다. 바스버거 정도가 매출이 줄었지만 대부분의 버거 브랜드가 모두 매출이 크게 올랐습니다.
파이브가이즈 매각 검토 요인 중 하나는 로열티?
파이브가이즈 매각 검토 요인 중 하나는 로열티?
버거 관련 3대 메이저 업체인 맥도날드, 버거킹, KFC 국내 회사가 해외 본사에 지급하는 로열티는 매출의 4~5% 정도입니다. 맥도날드는 4.2%, 버거킹은 5%, KFC는 4.1%로 추정됩니다.
버거 관련 3대 메이저 업체인 맥도날드, 버거킹, KFC 국내 회사가 해외 본사에 지급하는 로열티는 매출의 4~5% 정도입니다. 맥도날드는 4.2%, 버거킹은 5%, KFC는 4.1%로 추정됩니다.
그렇다면 파이브가이즈는? 정확한 수치는 공식 발표된 것은 없습니다.
그렇다면 파이브가이즈는? 정확한 수치는 공식 발표된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업계의 추정과 해외 파이브가이즈 본사의 여러 실적발표를 통해 추정하면 파이브가이즈의 로열티 수준은 약 7%에서 9.2% 사이로 추정됩니다. 다만 이것은 초기에 한화가 관련 비용도 좀 로열티와 함께 부담한 것으로 추정되구요.
하지만 업계의 추정과 해외 파이브가이즈 본사의 여러 실적발표를 통해 추정하면 파이브가이즈의 로열티 수준은 약 7%에서 9.2% 사이로 추정됩니다. 다만 이것은 초기에 한화가 관련 비용도 좀 로열티와 함께 부담한 것으로 추정되구요.
그래도 파이브가이즈의 로열티가 높은 수준인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한화의 파이브가이즈 2년만의 매각 검토 기사가 나오자 파이브가이즈 미국 본사에서 로열티 낮춰주는 것을 검토한다는 언론 보도가 일부 나왔어요. 그만큼 기존 로열티가 다른 메이저 버거 업체들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도 파이브가이즈의 로열티가 높은 수준인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한화의 파이브가이즈 2년만의 매각 검토 기사가 나오자 파이브가이즈 미국 본사에서 로열티 낮춰주는 것을 검토한다는 언론 보도가 일부 나왔어요. 그만큼 기존 로열티가 다른 메이저 버거 업체들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버거 영업이익률이 10%가 나기 어려운데 7~9%대의 추정 로열티는 부담일 수 있습니다.
버거 영업이익률이 10%가 나기 어려운데 7~9%대의 추정 로열티는 부담일 수 있습니다.
이익 나는데 왜 한화 고민할까?
이익 나는데 왜 한화 고민할까?
다른 급식투자 수요 많은 점,
다른 급식투자 수요 많은 점,
파이브가이즈 가치 호기라는 측면 등 '복합적'
파이브가이즈 가치 호기라는 측면 등 '복합적'
그래도 파이브가이즈 매장은 비교적 잘 되는 편입니다. 한국 파이브가이즈가 일본 진출도 모색한다고 하고 있죠.
그래도 파이브가이즈 매장은 비교적 잘 되는 편입니다. 한국 파이브가이즈가 일본 진출도 모색한다고 하고 있죠.
그런데도 왜 한화는 매각 카드를 꺼내 들었을까. 파이브가이즈에 투자한 한화 갤러리아/호텔리조트는 다른 투자처와 자금 수요도 많습니다.
그런데도 왜 한화는 매각 카드를 꺼내 들었을까. 파이브가이즈에 투자한 한화 갤러리아/호텔리조트는 다른 투자처와 자금 수요도 많습니다.
파이브가이즈 도입을 주도한 김동선 부사장(오너 셋째 아들)은 한화갤러리아, 한화푸드테크, 한화호텔앤리조트 3개사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들 3개 회사는 파이브가이즈를 2023년 도입했고 스텔라 피자를 인수했습니다. 로봇 파스타 엑스 오픈했다가 폐점시켰습니다. 2025년 급식업체 아워홈 인수했습니다. 아이스크림 벤슨 오픈했습니다. 로봇 우동가게 오픈했다가 폐점했습니다. 로봇 무인카페도 오픈했습니다. 파라스파라 서울도 인수했습니다. 한화는 2025년 8월 신세계의 급식업체 신세계푸드 인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파이브가이즈 도입을 주도한 김동선 부사장(오너 셋째 아들)은 한화갤러리아, 한화푸드테크, 한화호텔앤리조트 3개사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들 3개 회사는 파이브가이즈를 2023년 도입했고 스텔라 피자를 인수했습니다. 로봇 파스타 엑스 오픈했다가 폐점시켰습니다. 2025년 급식업체 아워홈 인수했습니다. 아이스크림 벤슨 오픈했습니다. 로봇 우동가게 오픈했다가 폐점했습니다. 로봇 무인카페도 오픈했습니다. 파라스파라 서울도 인수했습니다. 한화는 2025년 8월 신세계의 급식업체 신세계푸드 인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한화가 아워홈 인수만 해도 큰데 또 급식업체 신세계푸드 인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거기다가 한화갤러리아 압구정 명품관 재건축 추진 중입니다.
한화가 아워홈 인수만 해도 큰데 또 급식업체 신세계푸드 인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거기다가 한화갤러리아 압구정 명품관 재건축 추진 중입니다.
이렇게 보면 한화갤러리아와 푸드테크, 한화호텔앤리조트가 투자할 자금이 많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보면 한화갤러리아와 푸드테크, 한화호텔앤리조트가 투자할 자금이 많이 필요합니다.
국내 파이브가이즈는 약 15개 매장을 오픈해야 하는 것으로 미국 본사와 약속을 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국내 파이브가이즈는 약 15개 매장을 오픈해야 하는 것으로 미국 본사와 약속을 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점포 비용이 앞으로 더 나갈 수 있다는 것이죠.
점포 비용이 앞으로 더 나갈 수 있다는 것이죠.
파이브가이즈 매장 1곳을 더 내는데 약 40억원이 들 것으로 추정됩니다. 파이브가이즈 15개 매장을 한화가 내고 유지하려면 최소 200억원에서 250억원의 추가 자금이 필요합니다.
파이브가이즈 매장 1곳을 더 내는데 약 40억원이 들 것으로 추정됩니다. 파이브가이즈 15개 매장을 한화가 내고 유지하려면 최소 200억원에서 250억원의 추가 자금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국내 버거 시장이 아주 나쁘진 않고 현재 파이브가이즈가 도입 2년이어서 매출이 나쁘지 않은 지금 매각을 검토하는 것도 그럴만 하다고 보여집니다.
따라서 국내 버거 시장이 아주 나쁘진 않고 현재 파이브가이즈가 도입 2년이어서 매출이 나쁘지 않은 지금 매각을 검토하는 것도 그럴만 하다고 보여집니다.
다른 한화 계열사 투자 수요도 많구요. 한화가 2년만에 야심차게 도입한 파이브가이즈 매각을 고민하는 건 이런 이유들 때문으로 보입니다.
다른 한화 계열사 투자 수요도 많구요. 한화가 2년만에 야심차게 도입한 파이브가이즈 매각을 고민하는 건 이런 이유들 때문으로 보입니다.
글: 이동열 피치덱 대표
글: 이동열 피치덱 대표
정리: 백종훈 언
정리: 백종훈 언
“한화그룹, 버거 브랜드 '파이브가이즈' 매각 검토”
미국 파이브가이즈 햄버거 브랜드를 한화가 국내에 들여온지 불과 2년. 그런데 매각 검토설이 나왔습니다.
미국 파이브가이즈 햄버거 브랜드를 한화가 국내에 들여온지 불과 2년. 그런데 매각 검토설이 나왔습니다.
서울 강남과 여의도, 서울역, 경기 수원 등 국내 곳곳의 파이브가이즈 매장들은 어떨까요. 줄서기는 예전만 못하지만 장사가 안되진 않아 보인다는게 중론입니다. 야심차게 브랜드를 들여온지도 2년밖에 안됐죠.
서울 강남과 여의도, 서울역, 경기 수원 등 국내 곳곳의 파이브가이즈 매장들은 어떨까요.
줄서기는 예전만 못하지만 장사가 안되진 않아 보인다는게 중론입니다. 야심차게 브랜드를 들여온지도 2년밖에 안됐죠.
그렇다면 국내 햄버거 시장이 좋지 않거나 앞으로 좋지 않아질 거라고 봐서 일까요?
그렇다면 국내 햄버거 시장이 좋지 않거나 앞으로 좋지 않아질 거라고 봐서 일까요?
아니면 파이브가이즈의 다른 문제나 한화그룹의 다른 속내 때문일까요. 아니면 파이브가이즈 본사와의 로열티 문제일까요. 살펴 보겠습니다.
아니면 파이브가이즈의 다른 문제나 한화그룹의 다른 속내 때문일까요. 아니면 파이브가이즈 본사와의 로열티 문제일까요. 살펴 보겠습니다.
파이브가이즈 한국 인스타그램
파이브가이즈 한국 인스타그램
햄버거 강세인 1인가구, 2015년 이후 50% 증가...‘나쁘진 않네’
햄버거 강세인 1인가구, 2015년 이후 50% 증가...‘나쁘진 않네’
햄버거는 1인 가구, 1인 구매와 배달에 강한 메뉴입니다.
햄버거는 1인 가구, 1인 구매와 배달에 강한 메뉴입니다.
그렇다면 외식시장에서 보는 1인 가구 관련 지표들은 어떨까. 통계청 인구주택 총조사 등에 따르면 지난 2015년 520만 가구이던 1인 가구 숫자는 2023년 780만이 넘어 8년새 50% 늘었습니다.(표 빨간색 부분)
그렇다면 외식시장에서 보는 1인 가구 관련 지표들은 어떨까. 통계청 인구주택 총조사 등에 따르면 지난 2015년 520만 가구이던 1인 가구 숫자는 2023년 780만이 넘어 8년새 50% 늘었습니다.(표 빨간색 부분)
통계청의 월평균 가계소비 지출 중 음식 매출 비중을 봐도 코로나 이후 상승세는 두드러집니다.
통계청의 월평균 가계소비 지출 중 음식 매출 비중을 봐도 코로나 이후 상승세는 두드러집니다.
코로나 이후 외식산업 매출이나 비중은 나쁘지 않습니다.(꺾은선 그래프 빨간색)
코로나 이후 외식산업 매출이나 비중은 나쁘지 않습니다.(꺾은선 그래프 빨간색)
국내 버거시장 2020년 이후 5년간 50% 성장
국내 버거시장 2020년 이후 5년간 50% 성장
2020년 한국의 버거 시장은 2조6000억원 플러스 알파 정도의 규모였습니다. 알파로 표현한 것은 연매출 100억원 이하는 잘 집게가 되지 않아서입니다.
2020년 한국의 버거 시장은 2조6000억원 플러스 알파 정도의 규모였습니다. 알파로 표현한 것은 연매출 100억원 이하는 잘 집게가 되지 않아서입니다.
이후 2024년 국내 버거 시장은 4조원 플러스 알파 규모로 컸습니다. 5년만에 53% 커진 것입니다.
이후 2024년 국내 버거 시장은 4조원 플러스 알파 규모로 컸습니다. 5년만에 53% 커진 것입니다.
맥도날드 같은 경우 2020년 7900억원 매출을 올리다 2024년 1조2000억원까지 올라갔습니다. 바스버거 정도가 매출이 줄었지만 대부분의 버거 브랜드가 모두 매출이 크게 올랐습니다.
맥도날드 같은 경우 2020년 7900억원 매출을 올리다 2024년 1조2000억원까지 올라갔습니다. 바스버거 정도가 매출이 줄었지만 대부분의 버거 브랜드가 모두 매출이 크게 올랐습니다.
파이브가이즈 매각 검토 요인 중 하나는 로열티?
파이브가이즈 매각 검토 요인 중 하나는 로열티?
버거 관련 3대 메이저 업체인 맥도날드, 버거킹, KFC 국내 회사가 해외 본사에 지급하는 로열티는 매출의 4~5% 정도입니다. 맥도날드는 4.2%, 버거킹은 5%, KFC는 4.1%로 추정됩니다.
버거 관련 3대 메이저 업체인 맥도날드, 버거킹, KFC 국내 회사가 해외 본사에 지급하는 로열티는 매출의 4~5% 정도입니다. 맥도날드는 4.2%, 버거킹은 5%, KFC는 4.1%로 추정됩니다.
그렇다면 파이브가이즈는? 정확한 수치는 공식 발표된 것은 없습니다.
그렇다면 파이브가이즈는? 정확한 수치는 공식 발표된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업계의 추정과 해외 파이브가이즈 본사의 여러 실적발표를 통해 추정하면 파이브가이즈의 로열티 수준은 약 7%에서 9.2% 사이로 추정됩니다. 다만 이것은 초기에 한화가 관련 비용도 좀 로열티와 함께 부담한 것으로 추정되구요.
하지만 업계의 추정과 해외 파이브가이즈 본사의 여러 실적발표를 통해 추정하면 파이브가이즈의 로열티 수준은 약 7%에서 9.2% 사이로 추정됩니다. 다만 이것은 초기에 한화가 관련 비용도 좀 로열티와 함께 부담한 것으로 추정되구요.
그래도 파이브가이즈의 로열티가 높은 수준인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한화의 파이브가이즈 2년만의 매각 검토 기사가 나오자 파이브가이즈 미국 본사에서 로열티 낮춰주는 것을 검토한다는 언론 보도가 일부 나왔어요. 그만큼 기존 로열티가 다른 메이저 버거 업체들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도 파이브가이즈의 로열티가 높은 수준인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한화의 파이브가이즈 2년만의 매각 검토 기사가 나오자 파이브가이즈 미국 본사에서 로열티 낮춰주는 것을 검토한다는 언론 보도가 일부 나왔어요. 그만큼 기존 로열티가 다른 메이저 버거 업체들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버거 영업이익률이 10%가 나기 어려운데 7~9%대의 추정 로열티는 부담일 수 있습니다.
버거 영업이익률이 10%가 나기 어려운데 7~9%대의 추정 로열티는 부담일 수 있습니다.
이익 나는데 왜 한화 고민할까?
이익 나는데 왜 한화 고민할까?
다른 급식투자 수요 많은 점,
다른 급식투자 수요 많은 점,
파이브가이즈 가치 호기라는 측면 등 '복합적'
파이브가이즈 가치 호기라는 측면 등 '복합적'
그래도 파이브가이즈 매장은 비교적 잘 되는 편입니다. 한국 파이브가이즈가 일본 진출도 모색한다고 하고 있죠.
그래도 파이브가이즈 매장은 비교적 잘 되는 편입니다. 한국 파이브가이즈가 일본 진출도 모색한다고 하고 있죠.
그런데도 왜 한화는 매각 카드를 꺼내 들었을까. 파이브가이즈에 투자한 한화 갤러리아/호텔리조트는 다른 투자처와 자금 수요도 많습니다.
그런데도 왜 한화는 매각 카드를 꺼내 들었을까. 파이브가이즈에 투자한 한화 갤러리아/호텔리조트는 다른 투자처와 자금 수요도 많습니다.
파이브가이즈 도입을 주도한 김동선 부사장(오너 셋째 아들)은 한화갤러리아, 한화푸드테크, 한화호텔앤리조트 3개사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들 3개 회사는 파이브가이즈를 2023년 도입했고 스텔라 피자를 인수했습니다. 로봇 파스타 엑스 오픈했다가 폐점시켰습니다. 2025년 급식업체 아워홈 인수했습니다. 아이스크림 벤슨 오픈했습니다. 로봇 우동가게 오픈했다가 폐점했습니다. 로봇 무인카페도 오픈했습니다. 파라스파라 서울도 인수했습니다. 한화는 2025년 8월 신세계의 급식업체 신세계푸드 인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파이브가이즈 도입을 주도한 김동선 부사장(오너 셋째 아들)은 한화갤러리아, 한화푸드테크, 한화호텔앤리조트 3개사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들 3개 회사는 파이브가이즈를 2023년 도입했고 스텔라 피자를 인수했습니다. 로봇 파스타 엑스 오픈했다가 폐점시켰습니다. 2025년 급식업체 아워홈 인수했습니다. 아이스크림 벤슨 오픈했습니다. 로봇 우동가게 오픈했다가 폐점했습니다. 로봇 무인카페도 오픈했습니다. 파라스파라 서울도 인수했습니다. 한화는 2025년 8월 신세계의 급식업체 신세계푸드 인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한화가 아워홈 인수만 해도 큰데 또 급식업체 신세계푸드 인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거기다가 한화갤러리아 압구정 명품관 재건축 추진 중입니다.
한화가 아워홈 인수만 해도 큰데 또 급식업체 신세계푸드 인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거기다가 한화갤러리아 압구정 명품관 재건축 추진 중입니다.
이렇게 보면 한화갤러리아와 푸드테크, 한화호텔앤리조트가 투자할 자금이 많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보면 한화갤러리아와 푸드테크, 한화호텔앤리조트가 투자할 자금이 많이 필요합니다.
국내 파이브가이즈는 약 15개 매장을 오픈해야 하는 것으로 미국 본사와 약속을 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국내 파이브가이즈는 약 15개 매장을 오픈해야 하는 것으로 미국 본사와 약속을 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점포 비용이 앞으로 더 나갈 수 있다는 것이죠.
점포 비용이 앞으로 더 나갈 수 있다는 것이죠.
파이브가이즈 매장 1곳을 더 내는데 약 40억원이 들 것으로 추정됩니다. 파이브가이즈 15개 매장을 한화가 내고 유지하려면 최소 200억원에서 250억원의 추가 자금이 필요합니다.
파이브가이즈 매장 1곳을 더 내는데 약 40억원이 들 것으로 추정됩니다. 파이브가이즈 15개 매장을 한화가 내고 유지하려면 최소 200억원에서 250억원의 추가 자금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국내 버거 시장이 아주 나쁘진 않고 현재 파이브가이즈가 도입 2년이어서 매출이 나쁘지 않은 지금 매각을 검토하는 것도 그럴만 하다고 보여집니다.
따라서 국내 버거 시장이 아주 나쁘진 않고 현재 파이브가이즈가 도입 2년이어서 매출이 나쁘지 않은 지금 매각을 검토하는 것도 그럴만 하다고 보여집니다.
다른 한화 계열사 투자 수요도 많구요. 한화가 2년만에 야심차게 도입한 파이브가이즈 매각을 고민하는 건 이런 이유들 때문으로 보입니다.
다른 한화 계열사 투자 수요도 많구요. 한화가 2년만에 야심차게 도입한 파이브가이즈 매각을 고민하는 건 이런 이유들 때문으로 보입니다.
글: 이동열 피치덱 대표
글: 이동열 피치덱 대표
정리: 백종훈 언
정리: 백종훈 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