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인 속보

미국 "7월 8일 이후 기존 상호관세율 재적용"…한국 25% 관세 예상

신채영 기자|
미국 "7월 8일 이후 기존 상호관세율 재적용"…한국 25% 관세 예상
미국 재무부 장관 스콧 베선트는 7월 8일로 정해진 상호관세 협상 마감일 이후 무역 합의를 체결하지 못한 국가들에 대해 기존 관세율을 그대로 적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더 나아가 기존 발표보다 높은 최대 70%의 관세 부과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압박을 가했다.

현지시간 3일 CNBC와의 인터뷰에서 베선트 장관은 "현재 협상이 진행 중이며, 대부분의 국가들이 마감 직전까지 기다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각국은 최상의 협상 결과를 기대하고 있지만, 4월 2일 발표된 초기 관세율이 다시 적용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8일까지 협상을 완료하지 못할 경우 유예 기간 없이 원래 관세가 즉시 부과된다는 의미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발표한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며, 이 기간 동안 10%의 기본 관세만 적용해 왔다. 한국 역시 현재 10%의 관세를 부담하고 있다. 그러나 유예 기간이 끝나는 7월 8일 이후에는 원래 계획대로 관세가 부과될 전망이며, 한국의 경우 기본관세 10%에 국가별 관세 15%가 추가된 총 25%의 관세율이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베선트 장관은 블룸버그TV와의 별도 인터뷰에서 약 100개국에 대해서는 계속해서 10%의 관세율이 유지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미국과 무역 관계를 맺고 있는 약 200개 국가 중 절반 가량이 기본 관세율을 유지할 것임을 시사한다.

미국 정부는 각국에 관세 협상 조기 타결을 촉구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매일 10개국씩 관세 통보 서한을 발송할 계획"이라며 "9일까지 모든 서한 발송을 완료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관세 부과 시점은 8월 1일로 예정되었다. 특정 국가에 대한 관세율 조정 가능성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60~70%의 높은 관세에서 10~20%의 낮은 관세까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지난 4월 최고 50%였던 관세율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로, 협상 촉구를 위한 강력한 압박 수단으로 해석된다.

정부 교체로 인해 미국과의 무역 협상이 상대적으로 늦게 시작된 한국은 긴박한 상황에 직면했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협상을 위해 4일 밤 워싱턴DC로 출국할 예정이다. 여 본부장은 5일부터 6일까지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하워드 러트닝 상무장관 등과 회담을 가질 계획이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여 본부장은 "협상 진행 상황을 고려해 필요시 상호관세 유예 기간 연장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국 정부는 미국이 부과한 상호관세와 자동차, 철강, 알루미늄 등에 대한 품목별 관세 면제를 추진하면서, 최소한 경쟁국 대비 불리한 조건을 피하기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 관련 코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