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속보

1개월 만에 7000만원 급등…'14억 역대 최고가' 기록한 지역 뜨겁다

정우진 기자|
1개월 만에 7000만원 급등…'14억 역대 최고가' 기록한 지역 뜨겁다
경기도 광명시 아파트 시장에서 최고가 거래가 잇따르며 주가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대규모 단지 미분양 문제 해소와 강남권 주택 가격 상승 영향이 합쳐진 결과로 분석된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에 의하면, 지난달 15일 철산역 인근 롯데캐슬&SK뷰 84㎡(22층)가 14억 원에 매매되며 신기록을 세웠다. 이는 한 달 전 23층이 13억 3000만 원에 거래된 것에 비해 7000만 원이나 상승한 수치다. 현재 해당 단지 고층 물량은 15억 원까지 가격이 올라 있는 상태다.

철산역 주변 아파트들이 가격 상승을 이끌고 있다. 올해 5월 입주한 철산자이 더 헤리티지 59㎡는 같은 달 11억 4500만 원에 거래되며 최고가를 경신했으며, 현재 매물 가격은 13억 원까지 올라 있다. 84㎡의 경우 5월 최고가(14억 3000만 원)를 넘어 17억 원까지 호가가 치솟았다. 광명센트럴아이파크 84㎡도 지난달 17일 13억 5360만 원에 거래되며 신기록을 달성했다.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광명시 아파트 가격은 6월 마지막 주 0.32% 상승하며 전주(0.09%) 대비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다. 이는 지난 9일 보합 전환 후 4주 연속 상승한 결과로, 경기도 내에서는 과천(0.98%), 성남(0.84%)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증가율이다.

광명 지역은 그동안 공급 과잉으로 인한 가격 조정을 겪어왔다. 2022년 아파트 가격은 1.49% 하락했으며, 올해 들어서도 1.86% 추가 하락했다. 광명뉴타운과 철산동 재개발 아파트들은 지난해까지 '마이너스 프리미엄'이 적용되기도 했다. 지난 12월 '트리우스 광명'은 입주 전 최대 3000만 원의 할인 거래가 이루어지기도 했으며, 3000가구 이상 대규모 단지 미분양 해소에 10개월이 소요됐다.

전문가들은 광명 시장 활성화 배경으로 서울 강남권 주가 상승의 파급효과를 꼽는다. 강남을 중심으로 시작된 가격 상승이 분당, 수지, 광교, 동탄 등 경기 주요 지역으로 확대된 것이다. 또한 올해 들어 신규 공급이 거의 없는 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광명시 미분양 물량은 126가구로, 지난해 말(360가구) 대비 65% 감소했다. 현재 진행 중인 입주가 완료되면 당분간 신규 공급이 어려울 전망이다. 철산주공12, 13단지 재건축 사업이 남아있지만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신한 프리미어 패스파인더 양지영 자문위원은 "내년까지 일부 입주 물량이 남아 있어 단기간 급등은 어려울 것"이라며 "분양 물량이 거의 없고, 7호선을 통해 강남 접근성이 좋아 장기적으로 매력적인 지역"이라고 전망했다.

🏠 관련 부동산 뉴스